바닷가 왔으면 바다 맛을 봐야지

박미향 2011.08.05
조회수 20591 추천수 0

곰장어·붕장어로 몸보신, 주꾸미·낙지·고등어로 입호사

 

 

ll.jpg

 

 

 부산은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공단처럼 쭉 펼쳐진 해변 때문만은 아니다. 정신 못 차리게 할 정도로 신선한 생선이 있다. 부산 맛골목의 다른 축, 바다음식골목을 찾아 나서보자.
 대표적인 곳은 장어골목이다. 정확히 말하면 곰장어골목, 붕장어골목이라고 해야 맞다. 장어는 종류가 수십 가지다. 우리가 즐겨 먹는 장어는 뱀장어, 곰장어(먹장어), 붕장어(아나고), 갯장어(하모) 등이다. 서울의 장어집은 대부분 민물장어인 뱀장어를 취급한다. 해풍을 친구로, 어부를 아버지로 둔 부산 사람들은 먹지 않는다. 곰장어는 꼼장어라고도 부른다. 꼼수에 잘 걸려드는 장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수심 100~300m 바다의 자갈이나 개흙에서 서식해 양식은 어렵다. 이놈은 독하다. 껍질을 벗기고도 10시간 넘게 생존한다. 잘 꺾이지 않는 곰장어의 생명력 때문인지, 예부터 부산에서는 독한 방법으로 먹었다. 손톱만한 불씨에도 활활 타는 짚불에 던져 구웠다. 뜨거운 불기운에 곰장어는 공포에 가까운 몸부림을 친다. 부산 사람들이 곰장어를 먹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한국전쟁 이후 피난민들이 몰려와 먹을거리가 부족하자 장에 팔 수 없는 부실한 장어는 끼니가 되었다.

 

 

13.jpg

 기장 곰장어

 

12.jpg

기장 곰장어 옛날 방식으로 굽는 법 1

 

11.jpg

 기장 곰장어 옛날 방식으로 굽는 법 2

 

10.jpg

 기장 곰장어 옛날 방식으로 굽는 법 3

 

9.jpg

 기장 곰장어 옛날 방식으로 굽는 법 4

 

8.jpg

 기장 곰장어 옛날 방식으로 굽는 법 5

 

7.jpg

 기장 곰장어 옛날 방식으로 굽는 법 6

 

15.jpg

기장 곰장어 요즘 방식으로 굽는 법

 

 

남자한테 좋은데, 참 좋은데→기장 장어골목들

기장군에는 짚불구이 곰장어촌이 있다. ‘기장곰장어’(051-721-2934)를 운영하는 김영근(69)씨는 어린 시절 하루 3마리만 먹으면 꽁지에 불난 개처럼 천방지축 뛰어다녀도 배가 고프지 않았다고 한다. “참 성가신 놈이다. 대나무 통발로 잡는데 살려고 진액을 뿜어낸다. 진액을 없애는 작업은 고역이었다.” 이 거리는 35년여 전 곰장어집이 하나둘 늘면서 형성됐다. 80년대 후반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기장곰장어는 지금도 연 매출이 14억원일 정도다. 처음에는 옛날 방식대로 구웠다고 한다. “비 오면 짚을 다 버리지, 1㎏ 굽는 데 짚단이 6~7개 들어가는데 논 한마지기당 6만~7만원 줬어.” 지금은 얇은 철로 이은 철판에 곰장어를 얹고 그 아래 짚풀을 태워 익힌다. 3번에 걸쳐 익혀낸다.
 김씨가 옛날 방식 재현에 나섰다. 에일리언이 뚝뚝 침 떨어뜨리듯 미끈거리는 곰장어는 활활 짚더미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제아무리 해리 포터라 해도 구해낼 수 없을 정도로 금세 곰장어는 생을 마쳤다. 시꺼멓게 변한 짚단 사이로 곰장어가 노려본다. 이런 아찔한 상상은 목장갑으로 껍질을 쭉쭉 벗겨 잔혹한 육식동물의 본성을 마구 자랑하는 순간 잊어버린다. 맛있다는 얘기다. 옛날 방식으로 구우면 껍질이 더 검게 변한다. “남자한테 좋은데, 참 좋은데.”
 

f.jpg

기장군 죽성리 붕장어골목

 

g.jpg

 기장군 죽성리 붕장어골목

 

 

같은 소리가 기장군 죽성리(월전) 붕장어골목에서도 들린다. 붕장어는 등이 다갈색, 배는 흰색, 지느러미는 검다. 목에서 꼬리까지 점선도 있다. 소스라치게 놀랄 정도로 징그럽다. 붕장어촌은 장어를 구워 먹는 이들이 없었다면 찢어진 서커스 천막이라고 해도 믿을 만큼 허름하다. 바다 쪽이 뻥 뚫려 오륙도가 친구 하자고 덤벼들지만 고개를 돌릴 수는 없다. 작은 화로에 직접 굽는 ‘덕계집’(010-4877-4140)의 붕장어 맛이 틈을 안 준다. 기장곰장어가 <성균관 스캔들>의 ‘문재신’이라면 이곳 붕장어는 ‘이선준’이다. 짚불구이 곰장어가 위장을 차곡차곡 메웠지만 ‘이선준’을 마다할 수는 없다. 왜 남자한테만 좋은지 따지는 여러 명의 ‘김윤희’들이 이 자리 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기장시장에 들어서면 여느 지방 소도시와 다름없는 번잡함과 소란스러움이 있다. 10년 전부터 대게골목이 만들어졌다. 열세 집은 러시아산과 국산을 같이 판다. ‘기장시장대게’(051-721-0010)는 운동선수의 넓적다리처럼 굵은 대게 다리가 나그네를 유혹한다. 연화리 해녀횟집골목에서 30여년 전 해녀들은 바다 생물들을 빨간 광주리에 펼쳐 팔았다. 지금은 작은 천막집도 생겼다. 겸손하게 고개를 숙이고 들어가면 등대가 보이고 바람이 살랑 분다. 간판을 옮겨다니며 한 천막을 두 집이 함께 사용한다. ‘성주할머니’(010-7227-7114)의 주인 김성주(74) 할머니는 바다에서 톳을 깨느라 정신이 없다.

 

ii.jpg

 기장군 연화리 해녀횟집골목

 

h.jpg

 기장군 연화리 해녀횟집골목

 

 

맛 정겹고 종목 다양해→어묵·고갈비·주꾸미·고래고기 골목
 

부산 하면 어묵이다. 부산어묵은 인적이 닿는 곳을 따라 기찻길이 쭉 뻗은 것처럼 전국적으로 소비되고 있다. 중구 부평시장에는 어묵골목이 있다. 과거 어묵공장 자리였다. 3대가 이어가는 ‘환공어묵’(051-245-2969)은 환갑을 넘겼다. 환공어묵은 질 좋은 생선을 한번 찌고 또 튀겼다. 앞니에 닿는 탱탱함이 매혹적이다. 환공어묵은 최근 군납도 결정되었다고 한다.

 

1.jpg

 환공어묵의 여러 종류의 어묵들

 

추억을 불러오는 육고기가 통닭이라면 물고기는 고갈비다. 광복동 고갈비골목에는 1974년 문을 연 ‘원조 남마담 고갈비’(051-246-6076)가 아직까지 있다. 한창 성업하던 70~80년대는 고등어를 하루 300~400마리씩 구웠다. “우리 집은 헐타(싸다). 10·26 겪은 사람도 지금도 왔다 간다.” 걸걸한 주인 임애순(67)씨의 말투가 정겹다.
 지척인 중앙동에는 주꾸미골목이 있다. 석쇠에 구워 나오는 주꾸미는 술안주로 딱이다. ‘뚱보집’(051-246-7466)이 분주하다. 자갈치시장 고래고기골목, 장어골목과 연예인 이승기가 야구선수 이대호를 만나 더 유명해진 태종대 조개구이골목도 가볼 만하다.

 

e.jpg

자갈치시장 고래고기골목


 횟집골목을 빼면 섭섭하다. 부산 맛객들은 광안리나 해운대보다 미포와 청사포를 추천한다. 미포는 소박한 횟집들이 몰려 있는 포구다. 바다음식골목이 해변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범천동 귀금속거리에는 조방낙지골목이 있다. 지금은 골목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몇 집 없다. 귀금속거리가 조성이 되면서 하나둘 사라졌다. 하잘것없는 금덩어리 따위가 긴 세월 이어가는 맛을 쫓아낸 꼴이다. 60년대부터 한자리를 지킨 ‘원조낙지볶음 할매집’(051-643-5037)은 지금도 단골들로 북적인다. ‘조방’은 자유시장 자리에 있었던 조선방직회사의 준말이다.

 

z.jpg

‘원조낙지볶음 할매집’의 낙지볶음

 

 

평범해도 맛은 좋아→뚝배기·칼국수 골목 등
 

육고기·물고기의 번창에도 평범한 음식으로 맛을 지키는 골목도 있다. 동래구 칼국수골목과 부전동 뚝배기골목이다. 뚝배기가 뽀글뽀글 끓을 때 관광객들은 바로 앞에 있는 부산롯데호텔을 찾는다. 부산롯데호텔의 일식당 ‘모모야마’(051-810-6360)의 야경 때문이다. 정성스러운 손놀림으로 초밥을 빚는 주현식 셰프 뒤로 도시의 불빛 수만점이 반짝인다. 최근 43층으로 일식당을 옮긴 뒤 데이트족이나 근사한 분위기를 즐기는 이들이 찾고 있다.

 

6.jpg

부산롯데호텔 일식당 ‘모모야마’
 

여행의 마지막은 부산역 앞에 있는 러시아골목과 ‘상해거리’다. 부산에 정박한 미 해군들이 찾았다고 해서 한때 ‘텍사스 스트리트’라고 불리기도 했다. 영어와 생뚱맞은 러시아어가 거리를 메우고 있다. 러시아 보따리상인들이 자주 찾던 골목이다. 16년째 러시아 음식을 파는 ‘꾸리샤 그릴’(051-441-6433)의 주인 김영희씨는 러시아 동포한테 음식을 배웠다. 상해거리는 1884년 청나라 영사관이 이곳 화교학교 자리에 들어서면서 시작되었다. 현재 16개 중식당이 성업중이다. 소박한 ‘일품향’(051-467-1016)은 늦은 시간까지 손님들이 끊이지 않는다.

 

y.jpg

'일품향'의 만두

 

 

부산=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미향 기자
한겨레신문에서 음식문화에 관한 다양한 기사를 쓰고 있다. 2000년에 직장인들의 야식을 주제로 한 연재물 '밤참'을 시작으로 먹을거리와 인연을 맺었다. <그곳에 가면 취하고 싶다>, <인생이 있는 식탁> 등 4권의 음식 관련 책을 냈다. MBC <여성시대> 등에 출연해 맛난 이야기를 전하기도 했다. 타고난 체력과 품 넓은 열정을 재산 삼아 맛과 이미지의 세상을 여행하고 있다.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행복하게 만드는 음식문화 정착에 자신의 일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행복의 시작은 밥상이 출발이라고 믿는다.
이메일 : mh@hani.co.kr       트위터 : psolsol      

최신글

엮인글 :
http://kkini.hani.co.kr/10411/9b2/trackback
List of Articles

요리사의 꿈 펼쳐요, 내가 멘토 될게요

  • 박미향
  • | 2011.12.15

저소득층 청소년 자립 돕는 ‘SK 해피스쿨’ 요리학교장 서승호씨 새해 1년동안 ‘재능 기부’ 요리사 소양 교육은 기본 와인 특강과 셰프 강의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가파른 언덕길에는 ‘레스토랑 서승호’가 있다. 이곳은 하루 한 팀의 손님만 받는 걸로 유명하다. 파리 현지에서 실력을 닦은 프랑스 요리 전문가인 서승호(44·사진) 셰프가 주인장이다. 주요 20개국(G20) 서...

죽 쑤고 묵사발 내면 쓰리 아웃~!

  • 박미향
  • | 2011.10.14

포스트시즌 뛰는 삼성·롯데·SK·기아 선수들, 뭘 먹고 그렇게 잘 뛸까   문학경기장에서 경기전에 중간식을 먹고 있는 에스케이 와이번스 구단사람들 지난 9월30일 롯데 자이언츠와 두산 베어스 경기가 열린 부산 사직야구장은 뜨거웠다. 롯데 자이언츠 선수들은 플레이오프 직행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도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이날 선수식에도 따끈한 곰탕이 예외 없이...

“오빠~~, 한번 웃어봐, 제발~!”에 빵 터진 안철수같은 맛

  • 박미향
  • | 2011.09.14

목멱산방 육회비빔밥,슴슴하고 칼칼하고 무던 6가지 나물 비벼도 각자 색깔 흐트러지지 않아     가까운 지인 ‘영희’ 언니는 평생 ‘철수’ 때문에 고생을 했다. 나이도 마흔을 훌쩍 넘기고, 애도 셋이나 뒀는데 아직까지 그는 “철수는 어디 있냐”는 소리를 듣고 있다. 영희 언니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철수 이야기다. 며칠 동안 철수가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횟집에서 술 푸고, 대구탕집서 속 풀고

  • 박미향
  • | 2011.08.05

영화의 메카에서 김부현 피디가 추천한 영화스런 식당들   레디~고! 컷! 이 소리는? 영화 촬영장에서 들리는 소리다. 어디서? 부산에서. 왜? 부산 하면 영화, 영화 하면 부산 아닌가. 일제 강점기의 주택과 1970~80년대 풍경이 옛날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골목마다 전해지는 이야기는 탄탄한 시나리오의 소재가 된다. 1000만명 넘게 본 <해운대>와 칸 영화제 수상에 빛...

'무한도전' 셰프, 소라 잡고 생선내 맡던 고향으로 회귀

  • 박미향
  • | 2011.08.05

프랑스 유학파 ‘양셰프’ 부산에서 오너셰프로 변신   짐승돌 투피엠(2PM)이 앞치마를 입었다. 도마 위에서 칼질도 한다. 투피엠의 다정다감한 예비신랑 도전기, <2PM쇼>다. 이 리얼리티쇼는 지난 9일부터 케이블채널 <에스비에스플러스>(SBSPlus)에서, 10일부터는 <에스비에스 이티브이>(SBS E!TV)에서 방송을 시작했다. 16일 방송에서는 택연, 닉쿤, 찬성의 옆에 훤칠하게 잘생긴...

바닷가 왔으면 바다 맛을 봐야지

  • 박미향
  • | 2011.08.05

곰장어·붕장어로 몸보신, 주꾸미·낙지·고등어로 입호사   부산은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공단처럼 쭉 펼쳐진 해변 때문만은 아니다. 정신 못 차리게 할 정도로 신선한 생선이 있다. 부산 맛골목의 다른 축, 바다음식골목을 찾아 나서보자.  대표적인 곳은 장어골목이다. 정확히 말하면 곰장어골목, 붕장어골목이라고 해야 맞다. 장어는 종류가 수십 가지다. 우리가 즐겨 먹...

부산'식당'은 보통 식당이 아니라예~

  • 박미향
  • | 2011.08.04

부산 토박이가 추천하는 숨은 맛집 베스트 3   ‘나는 못난이다’ 대 ‘못생겨서 죄송합니다’의 투표가 시작되었다. 부산 아쿠아리움 직원들은 ‘못생긴 물고기 특별전’의 광고문구 2가지 중 하나를 골라야 했다. 결과는 못난이를 당당하게 표현한 ‘나는 못난이다’로 결정되었다. 사무실 한쪽에서 미소를 짓고 있는 이가 있다. 마케팅팀장 곽현일(41)씨다. 그가 낸 안은 ...

맛이 쏟아지는 부산으로 가요 골목으로 가요

  • 박미향
  • | 2011.08.04

맛이 쏟아지는 부산으로 가요 골목으로 가요 사진가 김기찬은 평생 골목만 찍었다. <골목 안 풍경> <그 골목이 품고 있는 것들> <개가 있는 따뜻한 골목> 등 사진집에는 누추하지만 따스한 1970년대 풍경들이 흑백의 선율로 노래한다. 촌스러운 단발머리의 소녀가 찡긋 웃고, 벌거벗은 아이들이 작은 양철통 안에 몸을 구겨 넣고 물장구를 친다. 골목길은 낡았지만 웃음은 ...

차돌같은 지킴이들과 차돌박이 우정 구워

  • ekamoon
  • | 2011.07.14

   어 앞자리에 강혜정이? 뽀얀 연기 사이로 눈이 부셔  팬과 배우, 손님과 맛집…, 서로 서로 의지하는 ‘동무’    구수한 공기를 뚫고 눈이 마주친다. 배우 강혜정이다. 그는 고깃집 맞은편 식탁에 앉아 있었다. 남편 타블로와 외국인 친구들, 음악인으로 추정되는 이들도 보였다. 그는 뽀얀 연기가 레드 카펫의 팡파르처럼 보일 정도로 눈부시게 아름다웠다.    ...

로커 출신 호텔 총주방장의 ‘록 앤 쿡’

  • 박미향
  • | 2011.07.12

롤링스톤스 전담요리사로 어깨 너어 배우다 밴드 결성 10년 뒤 다시 본업으로…“둘의 공통점은 열정과 창조성” ▶쇠꼬리 아스픽 지난 4일 인천 영종도 ‘록 코리아 미단시티 페스티벌’ 현장. 백발의 한 남자가 강한 비트의 록 음악에 맞춰 괴성을 지른다. 남자의 목소리가 커질수록 무대는 뜨겁게 달아오른다. 마치 한참 뜨겁게 달궈진 프라이팬처럼 느껴진다. 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