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의 와인, 그 뒷이야기

박미향 2012.05.22
조회수 16048 추천수 0

<53> 박미향 기자의 '나랑 밥 먹을래요?'

 

노무현 전 대통령 즐겼던 산딸기와인 개발한 최석용씨와의 짧은 통화

 

그날은 휑한 들에 버려진 볏짚처럼 볼품없는 평범한 아침이었다. 그 하루를 싼 방식으로 소비하기 위해 다크서클이 축축 늘어진 판다곰 몰골로 리모컨을 끌어당겼다. “띵~” 티브이가 어둠을 걷는 동시에 뉴스가 천둥처럼 울려 퍼졌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부엉이 바위’….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단어들이 튀어나왔다. 2009년 5월23일 토요일. 내게 솜털 같은 그저 그런 날을 누군가는 ‘끝’냈다. 눈물이 광대뼈를 타고 내렸다. 심장에 구멍이 뚫린 것처럼 아팠다. 주섬주섬 옷을 챙겨 입고 길을 나섰다. 집 앞 네일숍을 찾았다. 태어나서 처음이었다. 남에게 못생긴 내 손톱을 울긋불긋 색칠해달라고 부탁하게 될 줄은. 멍하게 손을 내밀었다. 까만색을 칠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덕에 최석용·허정화씨 부부를 만나게 됐다. 그해 6월 이들을 경남 김해시 상동면 매리에서 만났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곁을 지켰던 김경수 비서관은 “술을 즐기지 않으셨지만 ‘산애딸기와인’은 드셨다”고 전했다. 노 전 대통령은 2008년 10월29일 이곳을 찾았다.

빨간 산딸기가 산등성이를 덮고 있는 아름다운 농장이었다. 구포역에서 차로 40여분을 내리 달려야 나타났다.

‘깡촌’에서 만난 부부는 아름다웠다. 부부가 재배하는 산딸기는 신들이 내려와 뿌린 열매처럼 달고 건강했다. 아기 엉덩이 살처럼 뽀송뽀송하고 뾰족한 것으로 톡 건드리면 빨간 즙이 ‘어서 옵쇼’ 하는 것처럼 잘잘 흘렀다. 볼을 딸기로 빵빵하게 채워 넣어도 욕심이 날 만큼 맛났다.

도전정신이 투철한 최석용씨는 ‘산애딸기와인’을 개발했다. 포도도 아니고 딸기로 와인을 만든다고? 희한한 일이었다. 최씨는 정성스럽게 만든 산딸기를 “후려치는” 경매장 사람들에게 화가 나 옹기에 산딸기를 처박아두었다. 며칠 뒤 술이 되어 있었다. 2004년 일이다. 그때부터 딸기와인 개발에 나섰다. 재료는 딸기지만 여느 와인과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맛은? 햇볕에 비춰 보면 자주색이 돈다. 아로마(와인의 첫 향)는 풀냄새, 타닌은 적고 살짝 신맛이 난다. 알코올 도수는 12도. 샤토마니(충북 영동에서 생산하는 국산와인)가 아주 달고 과일향이 강한 반면 ‘산애딸기와인’은 얼추 우리가 알고 있는 서양 와인과 비슷한 맛을 낸다. 스테인리스 발효통도 자랑스럽게 보여주었다. 착한 농부를 만나고 나면 ‘참, 세상은 그래도 살아볼 만한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를 다시 만나 밥 한 끼 먹으려고 했다. 얼마 전 떡볶이 취재차 부산으로 향하던 기차 안에서도 굳게 결심을 했더랬다. 결국 지켜지지 않았지만 그에게 전화를 걸었다. “네, 잘 있습니다. 꼭 오세요. 제일로 반갑네요.” 그사이 변화도 많았다. 농장은 4대강 사업 때문에 인근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고, 당시 개발중이었던 산딸기식초가 출시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스타팜농장’으로 지정했다. ‘착한 농부’ 최석용씨는 시집 <행복한 하늘>도 냈다. “요즘은 더 열심히 해요.” 착한 냄새 폴폴 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노란 개나리 피는 봄에는 꼭 빨간 산딸기농장을 찾아야겠다. ‘산딸기닷컴’ 055-331-8114, www.sanddalgi.com.

글·사진 박미향 기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박미향 기자
한겨레신문에서 음식문화에 관한 다양한 기사를 쓰고 있다. 2000년에 직장인들의 야식을 주제로 한 연재물 '밤참'을 시작으로 먹을거리와 인연을 맺었다. <그곳에 가면 취하고 싶다>, <인생이 있는 식탁> 등 4권의 음식 관련 책을 냈다. MBC <여성시대> 등에 출연해 맛난 이야기를 전하기도 했다. 타고난 체력과 품 넓은 열정을 재산 삼아 맛과 이미지의 세상을 여행하고 있다.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행복하게 만드는 음식문화 정착에 자신의 일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행복의 시작은 밥상이 출발이라고 믿는다.
이메일 : mh@hani.co.kr       트위터 : psolsol      

최신글

엮인글 :
http://kkini.hani.co.kr/11861/ad7/trackback
List of Articles

시원해서 더 달콤한 초콜릿 음료

  • 박미향
  • | 2012.08.16

코코넛 풍미가 곁들여진 아이스 초콜릿 쇼콜라티에 루이 강이 제안하는 여름철 별미 간단하고 특별한 초콜릿 음료수 만들기 profile 루이 강 프랑스 ‘르 코르동 블뢰’에서 수학했다. 독일, 캐나다 등의 전문 쇼콜라티에 코스를 밟고 2010년 자신의 초콜릿 공방을 열었다. “혹시 마셔보셨어요? 굴을 갈아 넣은 초콜릿 음료를!” 쇼콜라티에(초콜릿 요리사) 루이 강(본명 강호성...

쫄깃쫄깃 탱탱 소바의 계절이 왔어요~

  • 박미향
  • | 2012.05.22

한국 주재 일본 언론인 요시다 히로야씨와 함께 떠난 서울 소바 여행 스바루 모리소바 “일본은 외식업체의 경쟁이 심해서 점점 가격이 내려가요. 한국과는 반대죠.” 요시다 히로야(37)씨의 첫마디다. 그는 일본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현재 케이아르뉴스(KR NEWS)에서 근무하는 언론인이다. 케이아르뉴스는 한국에 사무실을 두고 일본인들에게 한국의 소식을 전하는 인터넷 ...

노무현의 와인, 그 뒷이야기

  • 박미향
  • | 2012.05.22

<53> 박미향 기자의 '나랑 밥 먹을래요?' 노무현 전 대통령 즐겼던 산딸기와인 개발한 최석용씨와의 짧은 통화 그날은 휑한 들에 버려진 볏짚처럼 볼품없는 평범한 아침이었다. 그 하루를 싼 방식으로 소비하기 위해 다크서클이 축축 늘어진 판다곰 몰골로 리모컨을 끌어당겼다. “띵~” 티브이가 어둠을 걷는 동시에 뉴스가 천둥처럼 울려 퍼졌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

멋쟁이 박 대리 오늘 마장동에 뜬다

  • 박미향
  • | 2012.04.29

저렴하고 질 좋은 한우로 젊은 직장인들 회식장소로 인기, 마장축산물시장 오늘은 회식이 있는 날. 박유라 대리는 퇴근 무렵 동료들과 즐거운 눈빛을 교환한다. 업무를 마치자마자 동료들과 ‘고고씽!’ 20~30대 젊은 직장인들이 달려간 곳은 ‘마장축산물시장’(서울 성동구 마장동)의 먹자골목이다. 박씨는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에 일터가 있다. 신발 브랜드 ‘탐스’ 등을 ...

홍삼이 와인을 만났을 때

  • 박미향
  • | 2012.04.29

정통 프랑스 요리에 홍삼으로 건강 더하는 강경진셰프 서울 강남구 신사동 뒷골목에 있는 프랑스 레스토랑 ‘스웰’. 문을 열자 식탁에 ‘오리가슴살 스테이크’와 ‘뱅쇼’가 새초롬하게 앉아 있다. 대표적인 프랑스 음식들이다. 오리가슴살은 프랑스 고급요리에 자주 사용되는 식재료이다. 바삭한 거죽 아래에는 부드러운 속살이 둘둘 말려 부드러운 감촉을 자랑한다. 적당한 핏...

혀끝에 닿는 술맛, "감렬한데!"

  • 박미향
  • | 2012.04.29

국순당 부설연구소에서 듣는 전통주 복원 이야기 조선시대 풍속화 ‘야연’(野宴·작자 미상)에는 술 냄새가 난다. 누런 채색은 시큼한 동동주를 뿌린 듯하다. 세상살이 아랑곳하지 않고 소풍 나온 사내의 손에는 제 목숨인 양 꼭 붙잡고 있는 술병이 있다. 얇고 가는 주둥이에서는 다섯명의 사내와 두명의 아낙을 단숨에 흐드러지게 삼킬 만큼 달고 신 술 향이 솔솔 뿜어난...

우리 맛의 본류 - 김치 익어가는 세가지 빛깔

  • 박미향
  • | 2012.04.29

이 땅에서 철든 재료의 절묘한 조화 몸에 좋아 맛도 좋은 김치 가풍 > 한살림 회원 손순향(54)씨는 건강김치 만들기의 달인이다. 번잡한 서울 한복판 아파트에서 무려 21년간 겨울바람이 불면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동네 주민들을 다독거려 김치를 담가왔다. 손맛 좋기로 소문난 시어머니의 솜씨도 고스란히 배웠다. 그의 비법 중 하나는 ‘제철 식재료’를 100% 활용하는 것이...

김장 잔치는 색다른 요리로

  • 박미향
  • | 2012.04.29

지지고 볶고 찌고 끓이면 김치보다 '청출어람' ‘김장은 반년 양식’이라고 했다. 한해를 책임지는 먹을거리다. 그래서 김장날은 잔칫날이다. 마을 사람들은 함께 품앗이를 하고 돼지고기를 삶아 나눠 먹으며 노고를 풀었다. 김장김치만의 매력이다. 굴도 사각사각 방금 담근 김치에 싸 먹었다. 세상이 변해 막 담근 김치로 만드는 별난 요리들도 많이 생겼다. 김치의 맛도 즐기...

김장철 ‘esc’ 비상대책위원회 팔도 김치선수들을 보호하라

  • 박미향
  • | 2012.04.29

여기는 <esc> 비상대책위원회. 군경 수뇌부가 모였다. 송 경장 지금부터 비상대책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18시30분 발생한 ‘<esc>배 내가 제일 잘나가 김치선발대회’ 테러 사건에 대해 브리핑하겠습니다. 현재 범인은 대회장에 독가스를 살포하겠다고 협박중이며 10분 안에 참가 선수들을 대피시켜야 합니다. 김 본부장 야, 안 돼! 생각을 해봐. 10분 안에 누가 어떻게 대피를 ...

노르웨이의 숲이 접시 위에 오르다

  • 박미향
  • | 2012.04.29

스웨덴 셰프 비에른 프란첸이 말하는 북유럽 자연식 '노르딕 퀴진'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제4교시 사회탐구영역(세계지리) 1. 다음 제시어들과 무관한 나라는 어디인가? 사보이 꽃병, 개미 의자, 후고 알바르 헨리크 알토, 뱅앤올룹슨, 이케아, 판톤 의자, 빙하, 전나무, 백야, 바이킹, 비틀스, 무라카미 하루키 ① 덴마크 ② 스웨덴 ③ 노르웨이 ④ 크로아티아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