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전골 맛 세계 최고죠…이탈리아에 한식 알릴터”

끼니 2017.10.31
조회수 7630 추천수 0
팬들과 ‘한식 데이트’ 방송인 알베르토

00501895_20171022.JPG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

“두부전골은 정말 대단해요. 세계에서 최고인 거 같아요. 두부김치, 구운 두부 다 맛있어요.”

10월 11일 저녁 7시, 서울 가회동에 있는 모던 한식당 ‘두레유’에선 알베르토 몬디(33)의 두부 예찬이 시작됐다. 그는 <제이티비시>(JTBC)의 ‘비정상회담’ 등에 출연해 인기 스타 반열에 오른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이다. 이날 그는 한식재단 주최 ‘알베르토 몬디와 함께하는 한식 데이트’에 참석해 65 대 1의 경쟁률을 뚫은 팬 10명과 저녁 식사를 했다. 재단은 지난달 21일부터 일주일간 행사 참가자를 공개 모집했다. “저도 두부 정말 좋아해요. 두툼하게 썰어서 구운 건 보기만 해도 침이 돌아요.” 미국 뉴욕에서 한식당을 열 계획이라는 이진숙씨가 알베르토 말에 맞장구를 쳤다.

분홍빛 오미자 막걸리가 돌자 분위기는 한층 무르익었다. 이어 김치샐러드, 얇게 썬 송로버섯을 올려 찐 마, 청국장을 바른 철갑상어회 등이 차례로 나오자 이들은 탄성을 질렀다. 연세대 한국어학당 김보연 강사는 “알베르토와 함께 먹어서 더 맛있다. 주로 떡볶이만 즐겨 먹는 외국인 학생들이 이런 한식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5대1 경쟁 뚫은 10명과 식사 
“한국 전통주 파는 곳 많았으면 
이탈리아 음식과 한식 많이 닮아 
매운 음식 매일 먹다시피 해요”

작년부터 전업 방송인의 길 
매주 한 번 포털에 축구칼럼

참가자들의 일터에 따라 알베르토와 나누는 한식 얘기의 결이 달랐다. 파병 업무를 담당하는 수도방위사령부 권수빈 대위는 “한식을 그리워하는 파병 군인들이 많다. 아랍에미리트 부대에서 그 지역 식재료를 활용해 냉면을 만든 적이 있는데 그 맛이 전혀 안 났다”며 알베르토에게 그리워하는 고향 음식이 있느냐고 물었다. “한식 정말 좋지만, 간혹 바칼라(소금에 절인 대구) 생각이 난다. 적당히 굳은 빵 위에 바칼라를 올려 먹으면 근심이 사라진다”고 알베르토가 답했다.

알베르토는 막걸리, 전통주 등 우리 술을 파는 곳이 적어 안타깝다고 했다. “한국 술인데 한국에서 쉽게 구하기가 어려워요. 동네 슈퍼나 마트에 별로 없어요. 지방을 가거나 고급 백화점을 가야 구할 수 있잖아요.” 증류식 소주만 해도 전주, 안동 등 지방마다 맛이 다르다. 그런 미세한 맛의 차이를 일상에서 자주 경험해보고 싶은 것이다. 그는 외국인의 입맛에 대한 오해에 관해서도 얘기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주인아줌마가 ‘먹을 줄 아네’ 하고 놀라죠. 주로 미국인들이 매운 것을 못 먹지, 이탈리아 사람들은 매운 음식을 매일 먹다시피 해요.”

방송에서 ‘알(베르토)차장’으로 불린 그는 한국에 산 지 10년째다. 이탈리아에서 중국어를 전공한 그는 대학 4학년 때 중국 다롄으로 어학연수를 갔다가 지금의 아내를 만나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이후 아내를 따라 한국에 와 강원대 경제학과 석사과정을 마친 뒤 글로벌 맥주회사 사브밀러 한국법인, 자동차 회사 피아트 크라이슬러 한국지사 등에서 영업사원으로 일했다.

지난해 회사를 그만두면서 본격 방송인의 길을 걷고 있다. 올해 초부턴 매주 한 번씩 ‘네이버’에 축구 칼럼도 연재한다. 10대 때 잠시 축구선수로도 활동한 적이 있는 그는 축구광이다. 한국 축구에 관한 생각을 묻자 이런 답이 돌아왔다. “이탈리아는 학교에선 축구를 하지 않아요. 방과후 클럽 등에서 합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도, 축구를 잘하는 학생도 축구와 공부를 모두 할 수 있어요.” 어렸을 때부터 학업은 뒷전이고 축구선수로만 길러지는 한국 스포츠의 현실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한식과 이탈리아 음식은 공통점이 많아요. 같은 반도라서 생선도 풍부하고 가난했던 역사가 있어요. 도가니, 곱창, 닭 내장까지 버리지 않고 먹죠. 그런 점이 매우 비슷해요.” 지난 6월 이탈리아 안내서 <이탈리아의 사생활>을 출간한 그는 앞으로 이탈리아에 한국을 소개하는 책도 펴낼 생각이다. “물론 한식이 그 중심”이라고 한다.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사진 한식재단 제공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옥류관 요리사’가 말하는 평양냉면 숨겨진 맛 비결

  • 끼니
  • | 2018.06.22

“면 반죽에 식소다 넣어···꿩고기 육수에 간장 조금” 남쪽 냉면 식도락가들과 비교해보니 ‘숯골원냉면’ ‘평남면옥’ 등 재료 비슷한 곳 많아 지난 2일 오후 평양 냉면 전문점인 옥류관에서 걸그룹 레드밸벳이 냉면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일 평양에서 첫 공연을 마친 남쪽 예술단은 2일 유명한 평양 맛집 ‘옥류관’을 찾았다. 이날 가수 백지영은 옥류관의 메뉴인 ...

“두부전골 맛 세계 최고죠…이탈리아에 한식 알릴터”

  • 끼니
  • | 2017.10.31

팬들과 ‘한식 데이트’ 방송인 알베르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 “두부전골은 정말 대단해요. 세계에서 최고인 거 같아요. 두부김치, 구운 두부 다 맛있어요.” 10월 11일 저녁 7시, 서울 가회동에 있는 모던 한식당 ‘두레유’에선 알베르토 몬디(33)의 두부 예찬이 시작됐다. 그는 <제이티비시>(JTBC)의 ‘비정상회담’ 등에 출연해 인기 스타 반열에 오른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혀가 얼얼·귀가 사각사각···이거 별미네

  • 끼니
  • | 2017.10.16

중식 대가 신계숙 교수의 중식 예찬 “유가사상을 이해해야 그 맛 제대로 알아” 깐풍닭날개(干烹?翅). 박미향 기자 “뻑뻑한 살을 왜 먹어요? 맛없어요.” 지난달 배화여자대학교 신계숙(53) 전통조리학과 교수는 서울 후암동 자신의 쿠킹 스튜디오로 지인들을 초청해 한 상 떡하니 중식을 차리고 재미난 얘기보따리를 풀기 시작했다. 그가 만든 ‘호남고추생선찜’(?椒??)은 모양...

짜장면으로 꽃피운 40년 세월, 이제는 스타

  • 끼니
  • | 2017.06.12

[ESC 창간 10돌 기념호] 2007년 ESC 등장 이연복 요리사···아재 식도락가 노중훈, 페이스트리 셰프 성현아와 야식토크 지난 10년, 요리사 스타 등극 중식 요리사 이연복 대표적 식품 아닌 의류 광고까지 찍어 여러 세대 공감 능력이 매력 왼쪽부터 이연복, 성현아, 노중훈, 박미향. 홍종길 기자 ‘쿡방’ ‘먹방’ ‘치느님’ ‘면스플레인’. 10년 전만 해도 세상에 없던 ...

야구해설 고수들 ‘야구 맛집’ 보따리 풀다

  • 끼니
  • | 2017.04.06

야구 해설위원·캐스터가 귀띔한 전국 야구장 주변 맛집 푸짐하고 시원한 사직구장 막국수 옻닭백숙은 중계팀 단골 회식메뉴 이종범 반한 ‘우아한 곰탕’의 진수 마산구장엔 야들야들 옛날맛불고기 창원 ’장원갈비’의 ’옛날맛 불고기’. 박미향 기자 지난 3월31일 ‘2017 타이어뱅크 케이비오(KBO)리그’가 개막했다. 야구 시즌이 시작되면 야구선수들만큼이나 바쁜 이들이 스포츠캐...

카레로 가볍게 vs 고기로 묵직하게

  • 끼니
  • | 2016.12.14

정호영·다니엘 셰프가 각각 소개하는 일본·스웨덴식 해장법 정호영 셰프가 만든 일본의 해장요리 ’스지카레’. 박미향 기자 주는 기분을 들뜨게 하는 엔도르핀이라는 천국을 선물하고, 숙취라는 지옥을 보너스로 배달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애주가에게 숙취는 골치 아픈 숙제다. 작가의 실제 음주습관을 소재로 삼은 일본 만화 <음주가무연구소>나 미국 할리우드 영화 <행오버>는...

정신이 번쩍 속이 뻥 뚫리는 시원한 겨울메뉴

  • 박미향
  • | 2013.01.17

 새콤하게 언 김치에  밥 비빈 김치말이밥  겨울철 이북 별미    쫄깃쫄깃 탱탱한  냉우동  눈 씹듯 시원한  팥빙수도 후련한 맛   ‘이북손만두’ 김치말이밥  “몸 안에 첫눈을 내리게 하기 위해서요, 뜨거워진 가슴을 식혀야죠. 영혼의 소방차라고 할까요.” 밴드 크라잉넛의 한경록씨가 겨울철 팥빙수를 먹는 이유다. 요즘 그의 하루 식습관은 냉면과 팥빙수로 이어...

한국식 피시소스 제주어간장 아시나요

  • 운영자
  • | 2012.10.15

문순천(45) 사라져가는 전통 음식 어간장…현대식으로 개발해 유통하는 해어림“베지근하다게.”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주민 김대윤(65)씨는 어릴 때 먹었던 ‘멜젓(멸치젓갈)을 끓여 만든 장’ 맛을 한마디로 표현한다. ‘맛나다’와 비슷한 뜻의 제주도 말이다. “멜젓을 한참 먹고 나면 살은 없어지고 가시하고 흥건한 물만 남아요.” 김씨의 어머니는 그것을 끓여서 장을...

‘음식이 아니무니다’

  • 박미향
  • | 2012.08.16

웹툰 ‘역전! 야매요리’로 인기몰이·부천국제만화축제 초청받은 정다정 작가박태환과 쑨양이 나란히 앉아 사이좋게 쿠키를 먹는다. ‘비주얼은 곰팡이 핀 된장에다가 맛은 9천원짜리 타이어를 씹는 느낌’이다. “태환 오빠, 이거 드시면 저랑 사귀는 거에여” 요리를 만든 토끼가 외치자 박태환 선수는 “안 머겅” 답한다. 쿠키의 제조 과정은 열 번 쓰러져도 다시 일어나는 올...

무잼, 마늘잼, 다시마잼 드셔보셔~ [1]

  • 박미향
  • | 2012.08.16

사진 왼쪽부터 참외잼, 마늘잼, 무잼, 다시마잼. 제주도산 재료로 건강 수제잼 만드는 ‘미스터잼’…특이한 재료 이용한 잼 레시피도 제공혹시 들어 보셨는지요? 무잼, 마늘잼, 다시마잼을! 김치 재료로 쓰는 매운 무와 마늘, 시커먼 다시마로 잼을 만든다고요? 제주시 삼도2동에 터를 잡은 ‘미스터잼’(www.mrjam.co.kr)에는 귀가 솔깃한 잼이 많다. 현재 인기가 있는 5가지 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