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스무디에 고사리김밥까지…제주 카페서 먹자

끼니 2018.09.03
조회수 3728 추천수 0
‘제주 푸드 앤 와인 페스티벌 2018’이 뽑은 카페들

와랑와랑의 감귤스무디와 찰떡구이
와랑와랑의 감귤스무디와 찰떡구이

17~18세기 파리의 카페는 단지 차나 음료를 팔던 곳은 아니었다. 그 시대의 가장 뜨거운 화두를 논쟁하는 공간이었으며 문인들의 사랑방이었다. 그럼 한국은 어떨까? 명동의 카페 ‘가무’에는 지금도 46년 전 팔았던 비엔나 커피가 있다. 낡은 나무 벽과 창틀, 1970년대 고관대작 거실에서나 있었을 법한 전등 등이 예스러운 풍경을 자랑한다. 인공지능이 친구가 되는 시대지만, 가무가 파는 건 누군가의 추억이 복원되는 계기다. 안으로 들어서자마자 가무를 찾았던 20대 자신이 보인다.

이렇게 카페는 누군가의 삶에 쑥 들어가는 재주가 있다. 지금 제주엔 이런 카페들이 넘쳐난다. 파는 먹거리도 식당만큼 다양하다. 어디를 골라야 할지 난감할 때, 올해 3회를 맞은 ‘제주 푸드 앤 와인 페스티벌 2018’ 주최 측이 뽑은 ‘제주 카페 30선’을 참조하면 좋다. 계절의 꽃 5월, 작은 지도 한 장 들고 제주 카페 투어에 나서보자.

# 제주 식재료 활용한 카페들의 영토, 섬의 남쪽

―빌라드아토, 고사리김밥 들어나 봤나!

서귀포시에서 가장 이름난 관광지는 ‘이중섭 거리’. 그곳엔 분홍색 벽으로 여행객을 잡아끄는 카페 빌라드아토가 있다. 테이블이 5개뿐인 작은 카페지만 ‘카롱카롱해 스무디’, 인절미라테, 고사리와 달걀 등이 들어간 고사리김밥, 흑돼지샌드위치가 인기인 곳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문 닫는 날을 알려주니 여행 전에 확인해야 한다. (서귀포시 태평로 413/ 064-763-7374)

―귤나라, 와랑와랑

돌담 밖 감귤밭과 인근에 있는 동백나무 군락지가 큰 구경거리인 카페다. 나무와 돌로 장식한 실내는 마치 강아지 두 마리가 주인인 양 떡하니 앉아 있다. 유기농으로 재배한 감귤로 만든 영귤차, 영귤에이드, 감귤 스무디, 질 좋은 당근 생산지인 구좌읍의 당근을 짜 만든 당근주스도 있다.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중앙로 300번길 2/ 070-4656-1761)

―와토커피는 사랑방

버스정류장 앞에 있는 와토커피는 ‘와토 알프스’란 특이한 메뉴가 있다. 보기엔 커피에 달콤한 크림이 올라간 평범한 모양새지만 한 모금 맛을 보면 눈이 휘둥그레진다. 주민과 여행객들로 북적이는 곳이다.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하모로 238/ 일요일 휴무)

―창고의 변신, 키아스마

감귤 창고를 리모델링한 브런치 카페다. 새우를 마늘, 올리브유 등과 볶아 만든 ‘알 아히요’, 토마토소스에 새우 등을 조리한 ‘감바스 까수엘라’ 등이 인기다. 커다란 창고에 무심하게 배치한 듯한 식탁과 의자, 가구는 소박하면서 세련미가 넘친다. 좁아서 5명 이상은 들어가기 힘들다. (서귀포시 남원읍 태위로 255/ 070-4222-0102/ 수요일 쉼)

―칵테일은 바다다

세련된 조명과 라운지 음악을 내세우는 바다다는 여느 제주 카페와는 다른 풍모를 자랑하는 곳이다. 파도 소리와 하우스 음악 선율이 합쳐져 독특한 정취를 선물한다. 옥상에 있는 아늑한 의자에 앉아 ‘한라스프링 칵테일’을 한잔하면 세상 부러운 게 없다. 와인, 맥주, 위스키 등 다양하다. (서귀포시 대포로 148-15/ 064-738-2882)

카페 델문도
카페 델문도

# 섬의 서쪽은 세련된 커피와 우유 천지

―우유가 유명해 우유부단

명성이 높은 이시돌 목장의 우유로 만든 디저트 메뉴가 인기다. 홍차, 밀크티, 아이스크림 등. 주변에 푸른 목초지, 예쁜 벤치 등이 있어 예비 부부들이 사진 촬영차 많이 온다. (제주시 한림읍 금악동길 38/ 064-796-2033)

#개성 강한 카페들, 섬의 동쪽

- 방송 탔어요, 카페 델문도

한국방송(KBS)의 <1박 2일> 촬영지로 유명하다. 고급 에스프레소 기계에서 추출한 커피를 판다. 카페가 소유한 이 기계는 전 세계에서 60대만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백꽃 칵테일’도 인기다. (제주시 조천읍 조함해안로 519-10/ 064-702-0007)

미남미녀
미남미녀

―팥과 티라미수의 절묘한 합체, 미남미녀

최근 카페촌으로 뜨고 있는 종달리에 있는 카페다. 서양식 디저트를 우리 입맛에 맞게 바꾼 ‘팥 티라미수’ ‘카스텔라 인절미’ 등이 인기다. ##매우 조용한 카페로 5명 이상 단체 손님은 들어가기 어렵다. 심지어 ‘노 키즈 존’이다.## (제주시 구좌읍 종달로1길 102/ 010-9014-5937/ 목요일 쉼)

#도심의 원형을 살리는 섬의 북쪽

―쌀가게의 탈바꿈, 쌀 다방

과거엔 쌀집이었던 곳이다. 그때 썼던 간판과 가구들이 그대로 있어 고풍스럽다.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쌀다방라떼’. 인근에 있는 동문시장에서 빻아 온 곡물에 우유, 에스프레소를 넣어 만든 음료다. 카페 안엔 소박한 소품도 전시돼 있어 볼만하다. (제주시 관덕로4길 7/ 070-7785-9160)

글 박미향 기자, 사진 ‘제주 푸드 앤 와인 페스티벌 2018’ 제공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감귤스무디에 고사리김밥까지…제주 카페서 먹자

  • 끼니
  • | 2018.09.03

‘제주 푸드 앤 와인 페스티벌 2018’이 뽑은 카페들 와랑와랑의 감귤스무디와 찰떡구이 17~18세기 파리의 카페는 단지 차나 음료를 팔던 곳은 아니었다. 그 시대의 가장 뜨거운 화두를 논쟁하는 공간이었으며 문인들의 사랑방이었다. 그럼 한국은 어떨까? 명동의 카페 ‘가무’에는 지금도 46년 전 팔았던 비엔나 커피가 있다. 낡은 나무 벽과 창틀, 1970년대 고관대작 거실에서...

시원한 막국수도 먹고 돌돌 말아 파스타도 먹고!

  • 끼니
  • | 2018.06.22

고성막국수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한강은 어머니다. 차갑고 싸늘한 도시 서울을 품에 안고 온기를 불어넣는다. 사랑을 이제 시작한 이들에겐 최고의 데이트 장소를, 마음이 아픈 이들에겐 쉼터를 제공한다. 건강을 챙기려는 이들에겐 이만한 체육관도 없다. 한참 뛰고 달리다 보면 배가 고파지기 마련. 한강에서 5~10분 거리엔 맛집들이 넘쳐난다. 강서구의 지존, 고성막국수...

소머리국밥의 마술···속이 든든! 힘이 팡팡!

  • 끼니
  • | 2018.05.24

곤지암 일대 대표 먹거리 소머리국밥 '최미자' '골목집' '구일가든' 3총사 골프장 개장, 곤지암 나들목 개통 등 한몫 음식평론가 박정배 "서민 보양식으로 으뜸" ’골목집소머리국밥’. 박미향 기자 제주는 고기국수, 포항은 과메기와 물회, 나주는 곰탕. 지역마다 자랑하는 음식이 한 가지씩 있기 마련이다.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일대도 예외는 아니다. 전국구로 내세우는 음식은...

미쉐린 스타 요리사 평양냉면집 낸 사연은?

  • 끼니
  • | 2018.05.24

평양냉면·곰탕 등 파는 평화옥 순희네빈대떡·가메골손만두·오뎅식당 등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맛집 대거 입성 쉐이크쉑 버거·일본 3대 우동 맛도 볼만 ‘평화옥’의 평양냉면. 박미향 기자 ‘공항서적’이란 게 있다. 좁은 비행기 안에서 대충 훑어봐도 될 만한, 비행기를 타기 전 짬 난 시간에 볼만한 책을 말한다. 여러 번 읽어도 도무지 실체가 파악 안 되는 경제서나, 삶의...

강릉, 신커피로드를 가다

  • 끼니
  • | 2018.03.12

강릉은 자타공인 커피의 도시다. 1980년대 후반 서울 혜화동과 안암동에서 커피숍 ‘보헤미안’을 운영했던 한국 커피 1세대 장인 박이추(68)씨가 2000년대 초반 강릉에 터를 잡으면서부터다. 2002년 문 연, 그리스 산토리니풍의 커피숍 ‘테라로사’의 인기도 한몫했다. 이들의 명성이 밑거름돼 강릉 안목해변엔 커피 거리가 조성돼 있다. 한때 커피 자판기 여러 대가 명물로 커피...

미쉐린 가이드 2018···가온·라연 ‘★★★’

  • 끼니
  • | 2017.12.20

<미쉐린 가이드 2018 서울> 별점을 받은 레스토랑의 요리사들이 <미쉐린 가이드> 인터내셔널 디렉터 마이클 엘리스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박미향 기자 광주요의 ‘가온’과 신라호텔의 한식당 ‘라연’이 지난해 이어 연속 <미쉐린 가이드> 별 3개를 받았다. 미쉐린코리아는 8일 오전 11시, 호텔 시그니엘 서울의 그랜드볼룸에서 <미쉐린 가이드 2018 서울> 발간을 발표하면서 ...

제주 메밀버무리와 꿩엿을 아시나요?

  • 끼니
  • | 2017.10.16

자연주의 건강 맛집 메밀꽃차롱의 ’꿩샤부샤부’ 원매(1716~1797)는 중국 청나라 시대의 인물이다. 시인이었던 그를 후대의 사람들은 음식 사학자로도 기억한다. 그가 펴낸 고서적 <수원식단> 때문이다. 서른세살 때 부친이 사망하자 그는 관직을 사임하고 낡은 정원을 사들여 ‘수원’이라 이름 짓고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평소 사람들과 교류하길 즐겼던 그는 초대받은 집의 ...

꽃처럼 예쁜 한가위 음식···보기만 해도 침이 꼴깍

  • 끼니
  • | 2017.10.16

‘더 플라자’에서 ‘전국 12종가 내림음식 향연’ 펼쳐져 종가의 내림음식 명절 차례상에 오르면서 이어져 와 ’경북 안동 의성 김씨 지촌 김방걸 종가’의 증편. 한가위에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은 송편이다. 반달을 닮은 송편은 지역마다 모양과 맛이 다르다.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 조상들의 재기발랄한 기질을 확인할 수 있다. 충청도 사람들은 주로 호박송편을 만들어 먹었...

망치탕수육·숯불커피…‘신상 맛집’ 여기 다 있네

  • 끼니
  • | 2017.03.15

맛·멋·재미로 무장한 홍대입구역 6번 출구 일대 식당·카페들 서울 지하철 홍대입구역 6번 출구 앞은 봄기운이 완연하다. 역사 주변에 심은 앙상한 나무들이 기지개를 켜고 화려한 봄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 주말이면 데이트 나선 연인들과 커다란 여행 가방을 끌고 다니는 외국인들이 거리를 메운다. 도시 여행자에게 맛난 한 끼는 필수다. 그들을 유혹하는 맛집도 하나둘씩 얼...

이런 식빵, 침이 고이네

  • 끼니
  • | 2017.02.16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입맛 사로잡은 서울의 식빵집들 교토마블의 ‘삼색식빵’. 박미향 기자 식빵은 본래 밥 문화인 한국에서 간식이었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위상이 달라졌다.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밥보다 빵을 찾는 이들이 늘면서 식빵이 ‘식사 빵’으로 자리잡고 있다. 종류도 다양해졌고, 식빵만 팔거나 식빵을 간판스타로 내세운 빵집들도 생겨났다. 1~2시간 줄 서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