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착 감기는 음악 한잔, 라이브로 어때요?

박미향 2008.08.27
조회수 8364 추천수 0
방배동 서래마을 <피노>
 
인기그룹 출신이 주인장…와인은 되레 소품
이서진 김정은 데이트한 곳…이승철도 들러
 
 

1 copy.jpg


문득 길을 걷다 음악이 듣고 싶을 때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은? 엠피쓰리도 없고, 거리의 레코드가게도 조용하다면? 
 
두리번거리면서 공중전화를 찾는다. 핸드폰이 발명된 이후 백 만년만큼이나 긴 시간동안 지갑에 내팽겨쳐져 있었던 전화카드를 커내서 전화를 건다. 어디에? 내 핸드폰에.
 
컬러링이 들린다. "길을 지나는 어떤 낯선 이의 모습 속에도/바람을 타고 쓸쓸히 춤추는 저 낙엽 위에도/뺨을 스치는 어느 저녁의 그 공기 속에도/내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것에 네가 있어/그래/어떤가요." 남성 그룹 넬의 '기억을 걷는 시간'이다. 종종 하는 짓이다. 툭툭 돈 떨어지는 소리만큼이나 내 귀와 가슴은 음악이 주는 감동 때문에 쿵쾅거린다. 그런 이유로 컬러링은 항상 그맘때 가장 마음에 드는 곡을 골라놓는다. 넬의 노래를 안 지는 얼마 안됐지만 들을수록 중독성이 있다. 서태지가 음반제작에 참여해서 더욱 화제가 되었던 뮤지션이다. 
 
홀딱 빠져 일주일에 수십 만~수백 만원씩 먹다 아예 술집 차려
 
89108_2527_2.jpg음악의 중독성은 한번 빠지면 꽤 깊다. 감성을 마구 휘젓는다. 죽을 만큼 슬프게 만들기도 하고 갑자기 여행가방을 챙기게도 한다.
 
방배동 서래마을에 있는 와인집 <피노>는 그 음악의 중독성 때문에 발걸음을 하는 곳이다. 이 집에서 와인은 그저 소품이다. 주인 이두헌(44)씨는 "이곳은 음악이 70%, 와인은 30%다"라고 말한다. 그도 그럴 법한 것이 주인 이씨의 과거 이력을 보면 금세 고개가 끄덕여진다. 이씨는 십여년 전 청춘들의 가슴에 불을 확 지른 노래 '수요일엔 빨간 장미를'을 부른 80년대 인기그룹 '다섯 손가락'의 멤버이다.
 
음악쟁이가 와인에 빠진 사연이 궁금하다. "일주일에 수십 만원, 수백 만원씩 먹었다. 먹을수록 신기한 것이 모든 와인은 그 맛이 다 다르더라. 그 매력에 홀딱 빠졌다"고 사연을 말한다. 1993년 한국에서 음악활동을 잠시 접고 미국 버클리음악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던 그는 2000년 귀국해서 뮤지컬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했다.
 
"할아버지가 이북에서 양조장을 하셨다. 그래서인지 술을 좋아하는 편인데 주로 독주를 마셨다. 몸이 축나더라. 술은 여전히 좋고." 그런 이유로 알코올 도수가 독주보다 조금 낮은 와인을 알게 되었단다. 
 
와인을 심각하게 많이(?) 즐기다보니 차라리 와인집을 여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피노>의 와인은 바로 그 주인장의 입맛대로 구성되어 있다.
 
가격은 5만원부터…두 달에 한 번씩 새 차림
 

2 copy.jpg


프랑스 와인은 보르도와 부르고뉴, 론 지역을 구분해서 준비되어 있지만 다른 곳은 나라별로 준비되어 있다. 구대륙, 신대륙 와인이 골고루 차림표에 올라 있다. 두 달에 한 번씩 와인 목록은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가격은 5만원부터다. 소비자가격 4만원인 칠레와인 에스쿠호 로호가 6만원이다.
 
하지만 달콤한 와인 한 줄기보다 더 달짝지근한 음악 한 소절이 있다. '연주'가 있는 집들은 어떤 먹을거리집이든 '노래비'를 받는다. 적게는 몇 천원이지만 많게는 몇 만원이 넘기도 한다. 한 잔의 와인을 마시면서 공연비를 내는 것이다. 
 
이곳의 연주프로그램은 주인 이씨가 짠다. 매주 화요일 오후 9시와 10시는 이씨가 연주를 하고 다른 날들은 재즈뮤지션, 클래식 연주자들 등이 노래한다.
 
공연무대 밖 어둑한 곳곳의 테이블을 눈여겨보면 텔레비전에서만 만날 수 있는 인사들이 종종 눈에 띄기도 한다. 이승철 같은 가수들이나 배우들이다. 한때 이서진과 김정은이 이곳에서 데이트를 해서 유명해지기도 했다.
 
묵직한 풀 바디에 붉다 못해 검은 빛이 도는 와인을 내 앞에 끌어당겨 입술을 적신다. 몇 모금 목젖을 타고 쪼르륵 내장으로 흘러 들어가면 가뭄에 갈라진 논바닥이 비를 맞아 해갈되는 것처럼 기쁘다. 고개가 45도로 기울어지고 오른쪽 손이 턱을 받친다. 몽롱해지는 공기를 따라 저만치 무대 위에서 주인 이씨의 연주소리가 나를 찾아온다. 반갑다. 와인 향에 춤추고 음악 색에 어깨가 들썩인다. 
 
<피노>를 나서는 길에 살짝 비틀거리는 어깨를 곧추세우고 다시 공중전화를 찾는다. "그대 어떤가요, 그대 당신도 나와 같나요." 넬이 집으로 인도한다.
 
글·사진 박미향 <한겨레> 맛전문기자 mh@hani.co.kr
 

 
◈ 주인장이 추천하는 와인
 
Perrin & Fils VACQUEYRAS Les Christin(뻬랭 에 피스 바께이 라스 레 크리스탱) 2006년산 (소비자가 5만2천원, 신동와인, 프랑스):주인 이씨가 좋아하는 이유는 "첫맛은 맑고 그 안에 부케(와인의 발효와 숙성과정에서 생기는 독특한 향)가 뛰어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맛이 더 좋아진다. 브로고뉴 와인답지 않게 짙다"는 것이란다. 이 와인은 일반적인 와인들과 달리 산화방지제인 이산화항이 들어가지 않았다. 그런 이유로 유기농와인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 와인목록

   프랑스 보르도 13가지 5만원~28만원
   보로고뉴와 론 12가지 9만원~12만5천원
   이탈리아 16가지  11만원~15만원
   아메리카 13가지  11만5천원~14만원
   칠레 16가지 8만원~25만원
   오스트리아 8가지 7만5천원~5만원
   스페인 7가지 6만원~18만원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6가지 55만원 135천원
   스파클링 와인 6만원~ 31만원
   화이트 와인 11가지 5만5천원~8만5천원,
   (부가세별도 금액임)
   
   글·사진 박미향 <한겨레> 맛전문기자 mh@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미향 기자
한겨레신문에서 음식문화에 관한 다양한 기사를 쓰고 있다. 2000년에 직장인들의 야식을 주제로 한 연재물 '밤참'을 시작으로 먹을거리와 인연을 맺었다. <그곳에 가면 취하고 싶다>, <인생이 있는 식탁> 등 4권의 음식 관련 책을 냈다. MBC <여성시대> 등에 출연해 맛난 이야기를 전하기도 했다. 타고난 체력과 품 넓은 열정을 재산 삼아 맛과 이미지의 세상을 여행하고 있다.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행복하게 만드는 음식문화 정착에 자신의 일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행복의 시작은 밥상이 출발이라고 믿는다.
이메일 : mh@hani.co.kr       트위터 : psolsol      

최신글

엮인글 :
http://kkini.hani.co.kr/5387/201/trackback
List of Articles

사랑은 타이밍, 와인도 타이밍

  • 박미향
  • | 2009.02.12

로보(LOVO) 취향따라 와인·칵테일 맛볼 수 있어 젊은층에 ‘딱’ ‘듣는 즐거움’ 선사할 뮤지션의 라이브 공연 예정 사랑은 영원한 인생사 주제다. 세계적인 화가나 소설가, 음악가 등 창조의 세계에서 발을 딛고 있는 그 누구라도 사랑은 자신의 시간 속에서 놓칠 수 없는 훌륭한 재료다. 그 독특한 재료를 사용해서 지구에 없는 것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눈물과 감동을 선사...

내 첫사랑은 어떤 맛이었나

  • 박미향
  • | 2009.02.05

[식욕과 성욕사이] 인간과 닮은 와인 와인 한 병을 후딱 해치우고 버스에 오른 어느날, 진풍경을 만났다. 뒷자리에서 뼈 없는 연체동물처럼 흔들흔들 거릴 때 무심코 버스 안을 둘러보았는데 온통 와인들이었다. 엇! 의자에 사람대신 와인이 앉아 있네! 어라~ 내가 우주인에게 납치라도 되었나! 밖을 내다보니 샤르도네, 까베르네 쇼비뇽, 산지오베제(포도품종) 등 각종 포도주들이...

쿵더쿵 덩더쿵 그 소리의 뜻은?

  • 박미향
  • | 2009.01.22

삶이 희로애락과 함께하는 떡 솔직히 ‘떡’이라는 말에 성적인 뜻이 담겨 있다는 것을 알아챈 것은 불과 몇년 전이었다. 한 술자리에서였다. 폭탄주가 몇 바퀴 돌고 술자리에 모인 사람들의 낯빛이 울긋불긋해졌을 때 한 사람이 툭 던지듯 말했다. “자 다들 가장 기억에 남는 X친 이야기 좀 해봐.” ‘엥? 떡 만들어본 경험을 이야기하라고?’ 내가 “먹는 떡 말이야?” 하...

프랑스 유학길 와인과 요리에 푹~

  • 박미향
  • | 2008.12.31

취미가 직업이 된 이상황·배혜정씨 부부 대학강의 접고 ‘와인바’로 전업…한국·프랑스 가정식 요리 접목도 “타닌(떫은 맛)이 강하고 진한 색깔의 레드와인을 찾는군. 알코올 도수도 높은 것을 좋아하네? 그렇다면 우아함과는 좀 거리가 멀고 실천력이 강한 사람일 거야. 그와 비즈니스할 때는 결론을 빨리 내주는 게 좋을 것 같은데?” 와인전문가 이상황(50)씨는 마시는 포도주만...

파트너 입맛 맞춰 정 버무려 ‘비즈니스 김장’

  • 박미향
  • | 2008.12.10

송년회에 딱! ② 마음까지 녹여 파트너십 ‘쫀득쫀득’하게 제과회사의 한 해 초콜릿 농사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판매량에 달려 있다고 한다. 비즈니스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법칙 가운데 ‘파레토 법칙’(Pareto‘s law)이라는 게 있다. 흔히 ‘2:8 법칙’이라고 불린다. 한 기업의 매출 80%를 20% VIP고객이 올린다는 비즈니스 이론이다. 그런가 하면 롱테일법칙이란 것...

수술칼 버리고 식칼로 ‘맛있는 행복’ 요리

  • 박미향
  • | 2008.11.18

요리사 노종헌씨 큰 병원 후계자이자 명문대 의대생이 빠진 ‘마술’ 손님 먹고난 빈 접시엔 기쁨 두배 얹어서 돌아와 요리사 노종헌(40)씨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나파밸리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공상의 날개를 편다. ‘그 골목에는 프랑스 레스토랑이 적당하겠어. 요리는 4가지를 할까, 아니야, 10가지는 넘어야겠지.’ 자신이 운영할 레스토랑 서너 채를 짓고 허물다 보면 어느새...

음표 대신 콩나물 선택, ‘뻔’한 음식 ‘펀’하게

  • 박미향
  • | 2008.09.26

[메뉴토크] 민스키친 콩나물 냉채·오겹살 보쌈 등 ‘변주’ 독특 장보기 따라 차림표 날마다 조금씩 달라 극작가 이만희씨는 연극 &lt;불 좀 꺼주세요&gt;로 유명해지기 전에 한 고등학교에서 도덕을 가르쳤다. 1980년대 그 시절의 고등학교는 (지금도 그렇겠지만) '조는 놈', '장난치는 놈', 심지어 '빨간 책 보는 놈', '도시락 까먹는 놈'까지 여러 종류의 학생들이...

영화처럼 사랑을 마셨고 가게를 낳았다

  • 박미향
  • | 2008.09.22

사이드웨이 고독 중독에 빠졌던 프 방랑객 ‘연정 중독’ 프랑스 와인 중 국내 낯선 개성 강한 것들 "바람처럼 왔다가 이슬처럼" 가고 싶을 때가 있다. 세상살이 소소한 것들에 연연하지 않고 봇짐 하나 달랑 메고 외롭고 쓸쓸한 검객이 되어 발가락 사이로 모래바람 팍팍 묻히면서 떠돌고 싶을 때가 있다. <신용문객잔>(중국 무협영화)의 무림고수가 한없이 부럽고 <셰인>(서부영...

착착 감기는 음악 한잔, 라이브로 어때요?

  • 박미향
  • | 2008.08.27

방배동 서래마을 <피노> 인기그룹 출신이 주인장…와인은 되레 소품 이서진 김정은 데이트한 곳…이승철도 들러 문득 길을 걷다 음악이 듣고 싶을 때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은? 엠피쓰리도 없고, 거리의 레코드가게도 조용하다면? 두리번거리면서 공중전화를 찾는다. 핸드폰이 발명된 이후 백 만년만큼이나 긴 시간동안 지갑에 내팽겨쳐져 있었던 전화카드를 커내서 전화를 건다. 어...

찌고 볶고 삶은 것과 날것 다 섞인 ‘미지의 동굴’

  • 박미향
  • | 2008.07.30

[메뉴토크] ‘새우 앤 고기 부리또’ 군대에서 그토록 간절했던 음식 “그래 이거야!” 디자인 전공자 답게 ‘디지털 유목민’ 인테리어 커다란 배낭을 짊어진 노랑머리 외국인이 들어선다. 바에 앉아 커다란 부리토를 주문한다. 20대 처자들이 조잘조잘 자신이 다녀온 여행지에 대해 수다를 떤다. 서초동 맥시코 캐주얼 음식점 '도스 타코스'는 낯선 곳에서 온 이들과 어디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