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이 먹는 달고기, 벌써 품절이라네요

끼니 2018.06.22
조회수 14329 추천수 0

‘남북정상회담 만찬’으로 ‘친절한 기자’에 오랜만에 등판한 음식문화 담당기자 박미향입니다. 27일 역사의 새 장을 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처음 꺼낸 말은 ‘평양냉면’이었습니다. 그는 “어렵사리 평양에서 평양냉면을 가져왔다”며 “(문 대통령이) 편한 마음으로 좀 맛있게 드셨으면 좋겠다”고 말했지요. 시인 백석이 사랑한 슴슴한 평양냉면이 역사적인 회담의 문을 열었군요. (이 효과로 장안의 내로라하는 평양냉면집들이 이날 인산인해였답니다.)


‘한반도 비핵화’ 등 큰 의제만큼이나 만찬 음식이 화제입니다. 제면기까지 들고 온 옥류관 수석요리사가 선보인 냉면 맛이 궁금해지는군요. 이미 ‘옥류관 요리사가 말하는 평양냉면 숨겨진 맛 비결’(4월7일 기사)에서 그 맛에 대해 탐문해봤습니다. 옥류관에서 일한 적 있는 탈북 요리사 윤종철씨가 말한 옥류관 냉면은 메밀과 감자녹말을 ‘4 대 6’으로 섞는다는군요. ‘8 대 2’ 배합을 정설로 떠받든 남쪽 사람들에겐 신기할 따름입니다. 육수엔 꿩을 우린 국물이 들어간다는군요.


만찬에 평양냉면만 오른 건 아닙니다. 민어해삼편수는 우리 조상들이 더운 여름에 먹는 네모난 모양의 귀한 만두입니다. 속 재료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향인 신안 가거도에서 잡은 민어와 해삼을 넣었다는군요. 민어와 해삼은 지금이 제철입니다. 제철 음식을 쓰는 것만큼 최고의 조리법도 없지요. 사실 민어는 가거도가 아니라 임자도산을 으뜸으로 칩니다. 새우가 잘 자라는 곳이 바로 임자도인데, 민어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가 새우랍니다. 큰 민어 파시가 열리던 일제강점기엔 흥청망청 돈이 물결쳐 기생들이 원정 올 정도였다고 합니다. 인천 인근 굴업도에도 큰 파시가 열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만찬에 쓰일 만찬 메뉴가 공개됐다. 사진은 부산의 대표적인 생선인 달고기 요리는 유럽에서도 고급 생선으로 분류되며 북한 해역에서는 잡히지 않는 고기로 알려져 있다. 부산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문재인 대통령의 기억과 유럽 스위스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김정은 위원장의 기억이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음식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청와대 제공
남북정상회담 만찬에 쓰일 만찬 메뉴가 공개됐다. 사진은 부산의 대표적인 생선인 달고기 요리는 유럽에서도 고급 생선으로 분류되며 북한 해역에서는 잡히지 않는 고기로 알려져 있다. 부산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문재인 대통령의 기억과 유럽 스위스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김정은 위원장의 기억이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음식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청와대 제공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게 구운 달고기구이도 올랐더군요. 우리에겐 낯선 달고기는 서양에선 흔한 생선입니다. ‘존도리’라 부르죠. 한국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유년을 보낸 부산이 이 음식의 고향입니다. 지금이 제철인데, 1960~70년대엔 그저 가난한 이들이 먹던 서민의 생선이었습니다. 그들은 달고기로 포를 떠서 제사상에 올리곤 했죠. 팔기 시작한 지 고작 20여년도 안 됩니다.


달고기는 양식이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건강한 식재료로 이유식을 만들고 싶은 주부들이 몇 년 전부터 찾기 시작했죠. 거기다 서울의 고급 서양식 레스토랑의 유명 요리사들까지 가세했습니다. 서양식 ‘존도리 스테이크’를 메뉴로 내기 시작한 거죠. 이렇게 서서히 이름이 나기 시작한 게 고작 6~7년 전입니다.


그런데 큰일 났습니다. 이제 먹기 더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부산의 달고기 판매 전문점 ‘자갈치창용상회’ 주인 김경희(73)씨가 전해 온 소식은, 정상회담 메뉴에 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경매가가 예년에 비해 7~8배 올랐다는군요. 김씨는 그동안 1㎏을 2만원에 팔아왔는데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걱정입니다. 이번 만찬엔 유독 생선이 많습니다. 도미찜, 메기찜도 있더군요. 어떤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광주전남연구원 김준 연구원은 바닷물고기가 갖는 상징성에 주목합니다. 그는 “민어는 남북을 오가는 생선입니다. 땅에 가둬 놓고 사육하는 소나 돼지와 달리 경계를 넘나드는 게 물고기”라고 말합니다. 남북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 이번 정상회담의 역사적 의미가 만찬에 투영된 것이라고 (저 혼자) 해석합니다.^^ 

참, 뢰스티를 빼놓을 뻔했네요.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배려해 낸 음식입니다. 그가 유년을 보낸 스위스의 전통 음식이죠. 뢰스티는 우리네 감자전과 비슷한데, 감자를 삶아 채 썬 뒤에 두툼하게 모양을 잡아 익히는 음식입니다. 위에 소시지, 치즈 등을 올려 먹기도 합니다. 유럽의 감자는 우리네 감자와 달리 수분이 적어 삶아 썰어도 길쭉한 모양이 무너지지 않아요. 우리식으로 해석했다니 그 맛이 궁금해집니다.

00502466_20180427.JPG

가거도, 봉하마을, 부산, 스위스. 만찬 음식마다 지명이 있군요. <왜 맛있을까>를 쓴 옥스퍼드대학 통합감각연구소 소장 찰스 스펜스는 식탁의 즐거움은 마음에 있지, 입에 있지 않다고 했습니다. 추억이 묻어난 곳의 먹거리를 가져와 차린 만찬은 비둘기 훨훨 나는 평화의 세상으로 우리를 이끌 것으로 보이는군요.

박미향 기자 mh@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글쓰는 요리사’가 찾아낸 ‘오래된 식당’의 장수 비결은...

  • 끼니
  • | 2018.09.03

‘노포의 장사법’ 펴낸 박찬일 요리사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씨. 지난달 31일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53)씨는 ‘2018 스페이스 오디티’ 행사에서 평양냉면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2018 스페이스 오디티’는 음악 분야의 일꾼들을 서로 연결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회사인 ‘스페이스 오디티’가 연 콘퍼런스다. 이 행사엔 패션, 음식,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력을 ...

남북 정상이 먹는 달고기, 벌써 품절이라네요

  • 끼니
  • | 2018.06.22

‘남북정상회담 만찬’으로 ‘친절한 기자’에 오랜만에 등판한 음식문화 담당기자 박미향입니다. 27일 역사의 새 장을 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처음 꺼낸 말은 ‘평양냉면’이었습니다. 그는 “어렵사리 평양에서 평양냉면을 가져왔다”며 “(문 대통령이) 편한 마음으로 좀 맛있게 드셨으면 좋겠다”고 말했지요. 시인 백석이 사랑한 슴슴한 평양냉면이 역사적인 회담...

쥐, 정말 치즈를 가장 좋아할까?

  • 끼니
  • | 2018.04.09

이기적인 미식 욜로 푸드로 뜬 치즈 수백 가지 제조법 분류 참조하면 고르기 수월해 빵과 먹으면 더 맛있어 한국도 생산 농가 늘어나 대표적인 ‘욜로 푸드’ 중 하나인 여러 가지 치즈. 윤동길(스튜디오 어댑터 실장) 치즈아카데미 프로마쥬 김은주(37) 대표는 치즈 한 조각과 커피 한 잔으로 아침을 시작한다. 치즈는 와인 안주로 알려진 서양의 발효식품이다. 그는 “진한 ...

실존적 고민 빠뜨린 ‘쓰나미케이크’

  • 박미향
  • | 2011.07.01

  융통성 없는 파티스리 수업에서 인생을 배우다   파티스리(제과제빵)의 세계는 퀴진(요리)과 너무도 달랐다. 마치 다른 중력의 법칙을 가진 은하계에 떨어진 기분이었다. 파티스리에서 레시피는 바이블이자 꾸란(코란)이다. ‘경전’과 토씨 하나라도 다르게 조리하면 걷잡을 수 없는 재앙이 찾아온다. 예를 들어 레시피에서 달걀노른자 80g만 넣으라면 노른자를 쪼개서라도...

셰프의 자격, 야성이냐 과학이냐

  • 박미향
  • | 2011.07.01

누들로드 이욱정 피디의 르 코르동 블뢰 생존기<10> 퀴지니에와 파티시에…살벌한 라이벌 의식   ‘르 코르동 블뢰’의 학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프랑스 요리 전반을 배우는 퀴진과 디저트와 빵 만들기를 배우는 파티스리 과정이 그것이다. 나처럼 두 과정을 전부 수강하는 이도 있지만 한쪽만 공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고 실습교실과 담당교수까지 전부 다르다...

프랑스 갈레트, 한국판 부침개

  • 박미향
  • | 2011.07.01

<문영화, 김부연의 그림이 있는 불란서 키친> 검은 밀로 만든 대중식…전통주 시드르 찰떡궁합    프랑스는 남북한을 합친 면적의 약 2배 반이 넘는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국토의 80%가 평야와 구릉지인 유럽 최대의 농산물 재배국이다. 한국에 알려진 프랑스는 관광과 명품 수출이 주를 이룬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은 오히려 농업국가라고 스스로를 칭한다. ...

입맛 까다로운 프랑스인 사로잡은 이 맛

  • 박미향
  • | 2011.05.26

“비린내” 김밥 싫다 해도 마늘 뺀 ‘불고기’엔 환호 프랑스인이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언제일까? 캐비아에 샴페인 한 잔 마실 때란다. 1㎏에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철갑 상어알과 최소 3~5년은 포도주 저장고에서 묵히면서 하루에 두 번씩 병목을 돌려줘야 탄생하는 샴페인은 호사스런 음식의 대명사다. 프랑스 초대 대통령이었던 드골 장군은 360가지가 넘는 ...

누들로드 이욱정피디 르 코르동 블뢰 생존기

  • 박미향
  • | 2011.05.26

기말실기시험과 벌인 필사의 결전 2인의 낙제 유력후보 피말리는 경쟁…그리고 반전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 초급과정의 최종 관문이자 당락을 결정짓는 ‘파이널 프랙티컬’(Final Practical Test), 기말실기시험이었다. 평소 수업시간의 평가가 아무리 좋아도 소용없다. 이 마지막 실기시험을 망치면 낙제 처리되어 초급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들어야 한다. 상상만 해도...

프랑스 여인 버선발로 뛰어나올걸

  • 박미향
  • | 2011.04.27

한국입양아 엄마의 손맛 스민 ‘뵈프 부르기뇽’    파리의 겨울은 유독 습하고 길고 춥다. 그래서인지 봄의 햇살이 그렇게 고맙다. 친구 부부와 봄날 야외스케치를 간 곳은 파리 인근의 강변마을로 샛강 줄기를 따라 집들이 늘어서 있는 아름다운 곳이다. 이젤을 펴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지 한 시간이나 지났을까? 구름이 몰려오더니 비가 내린다. 비를 피할 마땅한...

누들로드 이욱정피디 르 코르동 블뢰 생존기

  • 박미향
  • | 2011.04.27

쫓겨난 예비셰프들 “잠깐만 참았더라면…” 주방에 난무하는 욕설…물리적 폭력에는 ‘불관용’ 원칙 요리사들이 등장하는 영국의 티브이(TV) 리얼리티 쇼를 보면 빠지지 않는 캐릭터가 있다. 지상파 방송에서 저래도 되나 할 정도로 말끝마다 비속어를 남발하고 성질나면 접시부터 공중에 날리고 본다. 바로 고함지르는 욕쟁이 셰프다. 폭군의 가련한 희생양은 지옥의 주방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