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는 요리사’가 찾아낸 ‘오래된 식당’의 장수 비결은?

끼니 2018.09.03
조회수 11609 추천수 0
노포의 장사법’ 펴낸 박찬일 요리사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씨.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씨.

지난달 31일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53)씨는 ‘2018 스페이스 오디티’ 행사에서 평양냉면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2018 스페이스 오디티’는 음악 분야의 일꾼들을 서로 연결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회사인 ‘스페이스 오디티’가 연 콘퍼런스다. 이 행사엔 패션, 음식,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력을 인정받는 이들이 참여했다. 그중에 ‘박찬일’도 있었다.

박찬일씨는 오지랖이 넓은 사람이다. 최근 그는 창업을 꿈꾸는 청년들의 멘토가 되어 식당 운영의 기술 등을 지도하고 있다. 제주올레는 지난 5월 사회적 기업 오요리아시아와 ‘스타 셰프와 함께하는 내 식당 창업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박씨를 청년들의 길잡이로 초대했다.

최근 <노포의 장사법>이란 책도 출간했다. ‘노포’는 오래된 식당을 말한다. 책은 30~4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식당을 찾아내 이 ‘밥장사의 신’들에 얽힌 얘기를 담았다. 노포를 찾기 위해 3년 가까이 발로 뛰었단다. 지난달 박씨를 그가 운영하는 식당 ‘광화문 몽로’에서 만났다.

- 오래된 식당에 집착하는 이유는?

“늙은 식당이 좋다. 뭐든 역사성이 있는 게 좋다. 난 옷도 새것을 잘 안 입고, 사람도 잘 사귀지 못한다. 오래된 식당에 가면 맛있고 마음이 편하다. 그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궁금해서 시작했다. 2년 전 쓴 <100년 식당>이 반응이 좋았는데 그 영향도 있다.”

- 책엔 정성과 노력을 들인 흔적이 역력하다.

“과거 생활용품은 박물관에 들어간다. 오래된 식당은 그 역사성에도 불구하고 보존이 어렵고 사라진다. 주인의 생생한 육성을 남기는 이가 없다. 내가 해보자 한 거다. 저술의 기초가 된 인터뷰 육성은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섭외가 어려워 많은 노력을 했다. 대부분 어르신이니 날 알 턱이 없다. 그저 자주 가서 밥 먹고 낮술 먹었다. 기자들 속어로 ‘뻗치기’ 한 거다. 여러 번 가니깐 정 때문에 허락해주더라.”

- 출간되고 재미있는 일은 없었나?

“어느 날 전화가 왔는데, ‘저 박원순입니다’ 하는 거다. 개인적으로 아는 사이가 아니니 놀랐다. 서울의 문화유산을 복원하는 작업을 하는 중이라며 ‘고맙습니다’ 하더라. 노포를 서울의 자산으로 본 거다. 서울문화에 식당이 빠지면 뭐가 있겠나! 사람은 일주일에 최소 4~5끼를 식당에서 허기를 채운다. 그런데도 서울 지역의 노포는 100개도 안 된다.”

1980년대 이전 창업식당 소개 
‘밥장사의 신’ 소개 두번째 책
“서울지역 노포 100곳 미만” 
‘50년 종업원’ 있는 식당에 감동 
창업 멘토로 식당운영 지도도

- 박찬일식 노포 선정 기준이 있나? 일제 강점기엔 일본의 조미료 회사 아지노모토가 한반도의 판매 전진기지로 냉면집을 선택했을 정도로 많았다. 냉면 협회가 있을 정도였다. 이제 거의 없다. 그만큼 노포가 적다. 고르는 데 힘들었을 것 같다.

“최소 1980년대 이전에 문을 연 곳을 선택한다. 훌륭해야 한다. 1980년대 생긴 을지면옥이 냉면집 노포다. 일본은 500년 넘는 식당이 많다. 한국전쟁 등의 영향 때문에 우리에겐 노포가 적지만 한편으로는 문화의 차이도 있는 것 같다. 오래된 것에 대한 애정이 적다. 거기엔 노포도 포함된다. 그리고 밥 팔아 먹고사는 이를 천하게 여기는 경향도 있다. 자식에게 물려 줄 생각 안 한다. 그러니 사라지는 거다.”

- 노포 중에 인상에 남는 곳은? 이유는?

“다 뭉클했다. 주름이 가득한 단골들도 감동이었다. 조선옥이나 우래옥엔 80살이 넘은 직원도 있다. 40~50년 넘게 종업원으로 일한 이가 있는 노포는 감동이었다. 노포에겐 공통점이 있다. 다들 한결같고 겸손하다. 거래처를 오래 유지한다. 식재료의 가격을 깎지 않는다.”

- 최근 식당 주인 중엔 최저임금 인상으로 타격이 크다는 이가 있다.

“이윤이 줄거나 적자가 날 거다. 임금이 올라갔다고 사람들이 식당을 더 많이 찾진 않을 거다. 종업원을 줄이고 기계나 반조리 식품을 쓰는 이도 봤다. 나는 식당의 이윤이 줄어도 최저임금은 올려야 한다는 주의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다. 어떻게 흘러가나 지켜봐야 할 것 같다.”

- 제주올레의 청년 창업 프로젝트는 어떻게 하게 됐나?

“장사하는 노하우 등을 알려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젊은 친구들은 티브이 보고 요리사의 생활이 화려하다고 오해한다. 월급은 짜고 노동 강도는 세다. 하지만 장점도 있다. 직장은 해고, 사내 정치 등을 걱정하지만 요리사는 식당이 문을 닫아도 이직이 쉽다.”

- 지난 정권에서 요리사로는 유일하게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랐다. 사회적 활동을 굳이 왜 하느냐는 업계 시선도 있다.

“사람마다 다른 거 아니겠는가. 365일 장인처럼 자신의 가게를 지키는 이가 있는가 하면 나처럼 글 쓰는 이도 있는 거다. 요리사라고 종일 주방에서 요리만 해야 하나?”

- 계획은?

“안 세운다. 닥치면 하는 편이다”
“닥치면 하는” 이치곤 이뤄내는 게 많다. 지난 2월엔 중식당 ‘진진’에서 일본 나가사키현에서 초청한 짬뽕명인 하야시다 마사아키, 왕육성 중식 요리사와 ‘동아시아 짬뽕을 말하다’ 란 세미나도 열었고, 지난달 11~12일엔 일본 시마바라현의 수연소면 장인을 초청하기도 했다. “재밌잖아요”가 행사를 기획한 이유다.

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글쓰는 요리사’가 찾아낸 ‘오래된 식당’의 장수 비결은...

  • 끼니
  • | 2018.09.03

‘노포의 장사법’ 펴낸 박찬일 요리사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씨. 지난달 31일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53)씨는 ‘2018 스페이스 오디티’ 행사에서 평양냉면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2018 스페이스 오디티’는 음악 분야의 일꾼들을 서로 연결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회사인 ‘스페이스 오디티’가 연 콘퍼런스다. 이 행사엔 패션, 음식,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력을 ...

남북 정상이 먹는 달고기, 벌써 품절이라네요

  • 끼니
  • | 2018.06.22

‘남북정상회담 만찬’으로 ‘친절한 기자’에 오랜만에 등판한 음식문화 담당기자 박미향입니다. 27일 역사의 새 장을 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처음 꺼낸 말은 ‘평양냉면’이었습니다. 그는 “어렵사리 평양에서 평양냉면을 가져왔다”며 “(문 대통령이) 편한 마음으로 좀 맛있게 드셨으면 좋겠다”고 말했지요. 시인 백석이 사랑한 슴슴한 평양냉면이 역사적인 회담...

쥐, 정말 치즈를 가장 좋아할까?

  • 끼니
  • | 2018.04.09

이기적인 미식 욜로 푸드로 뜬 치즈 수백 가지 제조법 분류 참조하면 고르기 수월해 빵과 먹으면 더 맛있어 한국도 생산 농가 늘어나 대표적인 ‘욜로 푸드’ 중 하나인 여러 가지 치즈. 윤동길(스튜디오 어댑터 실장) 치즈아카데미 프로마쥬 김은주(37) 대표는 치즈 한 조각과 커피 한 잔으로 아침을 시작한다. 치즈는 와인 안주로 알려진 서양의 발효식품이다. 그는 “진한 ...

실존적 고민 빠뜨린 ‘쓰나미케이크’

  • 박미향
  • | 2011.07.01

  융통성 없는 파티스리 수업에서 인생을 배우다   파티스리(제과제빵)의 세계는 퀴진(요리)과 너무도 달랐다. 마치 다른 중력의 법칙을 가진 은하계에 떨어진 기분이었다. 파티스리에서 레시피는 바이블이자 꾸란(코란)이다. ‘경전’과 토씨 하나라도 다르게 조리하면 걷잡을 수 없는 재앙이 찾아온다. 예를 들어 레시피에서 달걀노른자 80g만 넣으라면 노른자를 쪼개서라도...

셰프의 자격, 야성이냐 과학이냐

  • 박미향
  • | 2011.07.01

누들로드 이욱정 피디의 르 코르동 블뢰 생존기<10> 퀴지니에와 파티시에…살벌한 라이벌 의식   ‘르 코르동 블뢰’의 학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프랑스 요리 전반을 배우는 퀴진과 디저트와 빵 만들기를 배우는 파티스리 과정이 그것이다. 나처럼 두 과정을 전부 수강하는 이도 있지만 한쪽만 공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고 실습교실과 담당교수까지 전부 다르다...

프랑스 갈레트, 한국판 부침개

  • 박미향
  • | 2011.07.01

<문영화, 김부연의 그림이 있는 불란서 키친> 검은 밀로 만든 대중식…전통주 시드르 찰떡궁합    프랑스는 남북한을 합친 면적의 약 2배 반이 넘는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국토의 80%가 평야와 구릉지인 유럽 최대의 농산물 재배국이다. 한국에 알려진 프랑스는 관광과 명품 수출이 주를 이룬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은 오히려 농업국가라고 스스로를 칭한다. ...

입맛 까다로운 프랑스인 사로잡은 이 맛

  • 박미향
  • | 2011.05.26

“비린내” 김밥 싫다 해도 마늘 뺀 ‘불고기’엔 환호 프랑스인이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언제일까? 캐비아에 샴페인 한 잔 마실 때란다. 1㎏에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철갑 상어알과 최소 3~5년은 포도주 저장고에서 묵히면서 하루에 두 번씩 병목을 돌려줘야 탄생하는 샴페인은 호사스런 음식의 대명사다. 프랑스 초대 대통령이었던 드골 장군은 360가지가 넘는 ...

누들로드 이욱정피디 르 코르동 블뢰 생존기

  • 박미향
  • | 2011.05.26

기말실기시험과 벌인 필사의 결전 2인의 낙제 유력후보 피말리는 경쟁…그리고 반전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 초급과정의 최종 관문이자 당락을 결정짓는 ‘파이널 프랙티컬’(Final Practical Test), 기말실기시험이었다. 평소 수업시간의 평가가 아무리 좋아도 소용없다. 이 마지막 실기시험을 망치면 낙제 처리되어 초급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들어야 한다. 상상만 해도...

프랑스 여인 버선발로 뛰어나올걸

  • 박미향
  • | 2011.04.27

한국입양아 엄마의 손맛 스민 ‘뵈프 부르기뇽’    파리의 겨울은 유독 습하고 길고 춥다. 그래서인지 봄의 햇살이 그렇게 고맙다. 친구 부부와 봄날 야외스케치를 간 곳은 파리 인근의 강변마을로 샛강 줄기를 따라 집들이 늘어서 있는 아름다운 곳이다. 이젤을 펴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지 한 시간이나 지났을까? 구름이 몰려오더니 비가 내린다. 비를 피할 마땅한...

누들로드 이욱정피디 르 코르동 블뢰 생존기

  • 박미향
  • | 2011.04.27

쫓겨난 예비셰프들 “잠깐만 참았더라면…” 주방에 난무하는 욕설…물리적 폭력에는 ‘불관용’ 원칙 요리사들이 등장하는 영국의 티브이(TV) 리얼리티 쇼를 보면 빠지지 않는 캐릭터가 있다. 지상파 방송에서 저래도 되나 할 정도로 말끝마다 비속어를 남발하고 성질나면 접시부터 공중에 날리고 본다. 바로 고함지르는 욕쟁이 셰프다. 폭군의 가련한 희생양은 지옥의 주방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