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봄·봄 …봄나물이 왔어요

박미향 2011.03.08
조회수 20280 추천수 0

나물은 대표적인 봄철 먹을거리다. 생동하는 계절의 힘찬 기운을 우리 식탁에 선물한다. 우리 선조들은 예부터 채소를 즐겼다. <삼국유사>에 이미 쑥과 마늘에 대한 기록이 있고, 삼국시대에 ‘천금채’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상추는 고구려 특산물이었다. 고려 때 간행된 <한약구급방>이나 조선시대 고서적 <시의전서> <농정회요> 등에는 각종 나물의 종류와 조리법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나물요리는 언뜻 만들기 쉬워 보이지만 제대로 맛을 내려면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가능한 한 양념을 적게 넣는다. 양념이 진하면 채소 특유의 맛과 향을 살리기가 힘들다. 둘째 익히는 시간은 최대한 짧게 한다. 너무 익으면 채소 자체가 물컹거려 씹는 맛이 사라진다. 숙채보다는 생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신선하다. 마지막 헹구는 물에 식초나 레몬즙을 살짝 넣으면 신선함이 더 오래 유지된다. 된장찌개 등에 나물을 넣을 경우 고기 육수보다는 조갯살, 홍합, 새우, 멸치 등으로 우린 육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봄나물은 상큼한 맛이 생명이다. 세종호텔 한식뷔페 ‘은하수’의 황현주 주방장은 좋은 봄나물을 고르는 일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잎이 여리고 색이 짙으며 만졌을 때 부드럽고 습기가 많은 나물을 추천한다. “뿌리는 너무 크거나 억세지 않아야 아삭아삭 씹는 맛이 있다”고 말한다.

 

봄나물의 대표주자는 냉이, 봄동, 달래다. 냉이는 단백질 함량이 많고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나른한 봄날 춘곤증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눈 건강에 좋고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알칼리성 식품인 달래엔 칼슘이 100g당 169mg 들어 있다. 봄동은 찬 성질이 있어 열이 많은 이에게 좋다.

 

 

img_110308.jpg
▲ 세종호텔의 봄나물


 

냉이튀김
재료:
냉이 150g, 콩가루 100g, 튀김가루 200g, 식용유
만드는 법
1. 냉이는 손질해 깨끗이 씻어 건져 놓는다.
2. 손질한 냉이에 콩가루를 뿌린 후 튀김가루를 풀어놓은 물에 살짝 담가 튀겨낸다.
 
달래·봄동 겉절이
재료:
봄동 150g, 달래 100g, 양념장(올리브오일 2큰술, 참기름 1/2큰술, 간장 1과1/2큰술, 설탕 1/2큰술, 고운 고춧가루 1큰술)
만드는 법
1. 봄동을 한입 크기로 어슷하게 썰어서 씻는다.
2. 달래는 4cm 길이로 썰어서 준비한다.
3. 양념장 재료를 섞는다. 봄동과 달래를 넣고 함께 버무린다.
  

 

 

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요리 및 도움말 황현주(세종호텔 은하수 주방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박미향 기자
한겨레신문에서 음식문화에 관한 다양한 기사를 쓰고 있다. 2000년에 직장인들의 야식을 주제로 한 연재물 '밤참'을 시작으로 먹을거리와 인연을 맺었다. <그곳에 가면 취하고 싶다>, <인생이 있는 식탁> 등 4권의 음식 관련 책을 냈다. MBC <여성시대> 등에 출연해 맛난 이야기를 전하기도 했다. 타고난 체력과 품 넓은 열정을 재산 삼아 맛과 이미지의 세상을 여행하고 있다.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행복하게 만드는 음식문화 정착에 자신의 일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행복의 시작은 밥상이 출발이라고 믿는다.
이메일 : mh@hani.co.kr       트위터 : psolsol      

최신글

엮인글 :
http://kkini.hani.co.kr/7694/c5e/trackback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