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줄 알았더니 배내, 사랑도 이랬으면!

박미향 2010.05.20
조회수 11004 추천수 0
<구암모꼬지> 배깍두기
음식도 연애도 허겁지겁 서둘면 제맛 몰라
강약 조절해 굽던 ‘맥적’ 탱탱하게 ‘재탄생’


 
img_06.jpg



껍질을 벗긴 무와 배를 깍둑썰기를 해서 그릇에 담아두면 어떤 것이 무인지 배인지 알 수가 없다. 맛을 보지 않고서는 구별이 힘들다. 연애도 마찬가지다. 멀쩡해 보이는 상대방도 가까이에서 ‘맛을 보지’ 않으면 달콤한지 시원한지 담백한지 알 수가 없다. 내가 좋아하는 ‘맛’을 가진 이를 찾아야 한다. ‘내 맛’과 잘 맞는 이와 짝을 이룬다면 그보다 행복한 일은 없다. 한잔의 샴페인도 궁합이 잘 맞는 굴을 만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세상 음식을 만났는가! 결혼이라는 일생에서 중차대한 일을 치르기 전에 반드시 ‘맛보기’과정이 필요하다.
 
 
편견처럼 양념도 지나치면 딴 맛…속궁합도 따져보고
 
우선 편견을 버려야 한다. 내 마음대로 양념을 쳐서 맛보면 본래의 맛을 알 수가 없다. 배와 무에 소금이나 설탕을 치면 맛의 구별이 힘들다.
 
사랑에 굶주리고 있을 때 맛보는 것도 좋지 않다. 판단하기 힘들다. 허기질 때 먹는 음식은 쓰레기도 맛있다. 배가 채워졌다는 느낌만으로 충만감을 느낀다. 후회가 뒤따른 수도 있다.

다음은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천천히 꼭꼭 씹어 ‘먹어야 ’한다. ‘느리게 먹기’는 건강에 필수조건이다. 상대방을 천천히 음미하면서 나와 맞는 지를 꼼꼼히 따져야한다. ‘속궁합’도 챙겨봐야 할 ‘맛보기’과정이다. 이왕이면 잘 맞는 것이 좋다.
 
이런 생각들은 한 농가 맛집에서 맛본 음식 때문에 들기 시작한 것들이다. 당연히 ‘무’인지 알고 맛을 봤는데 ‘배’여서 깜짝 놀라게 한 먹을거리였다. 그야말로 반전이다. 
 
주인공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농가 맛집 <구암모꼬지>의 식탁에 오른 배깍두기이다. 재료가 배일뿐 만드는 법은 일반 깍두기와 같다. 그 맛은 독특하다. 배깍두기는 고춧가루가 버무려진 매콤한 맛의 날개를 달고 달디 단 배즙을 혀 안에 뿜어낸다. 신씨는 “남양주시는 배가 유명해요. 그 배로 담가봤어요. 색다른 맛이라서 오시는 분들이 아주 좋아하셔요”라고 말한다.
  
 
img_02.jpg


반쯤 굽다가 찬물에 담갔다 다시 익히면 사르르

 
이 농가 맛집은 신은정(50)씨가 운영하는 음식체험장이다. 그는 2004년까지 남양주시 농업기술센터 생활개선회를 4년간 이끌었던 이다. 남양주향토음식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역음식을 연구했다. 그가 만든 ‘구암모꼬지’에서는 ‘맥적’과 ‘약고추장’, ‘고종쌈밥’ 등 다양한 음식을 체험할 수 있다. ‘맥적’, 생소한 이름이다. 하지만 알고 보면 아주 친근한 음식이다.

 “옛날 옛적” 고구려시대 음식인 맥적은 우리가 좋아하는 너비아니와 불고기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만드는 법 때문이다. 쇠고기를 양념에 절인 후에 꼬챙이에 끼워서 구워 먹었다. 이 음식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설하멱’(雪下覓)으로 발전했다. ‘설야멱’(雪夜覓)이라고도 불렀다. 눈 아래서 먹었다고 해서, 눈 오는 밤에 먹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해동죽지>에는 “설하멱은 개성부의 명물로 쇠갈비나 염통을 기름 등으로 조미하여 굽다가 반쯤 익으면 냉수에 잠깐 담갔다가 센 숯불에 다시 구어 익으면 눈 오는 겨울밤의 술안주에 좋고 고기가 몹시 연하여 맛이 좋다”라는 기록이 있다. 불 조절이 쉽지 않던 시절 익지 않고 겉만 타는 것을 염려한 우리 조상의 지혜가 숨어있다. 찬물에 넣었다가 익히면 타지 않고 연하게 익었다.  
 
오래전에 사라졌던 이 음식을 신은정씨는 왜 살렸을까? 2007년 농업진흥청은 전국의 9곳을 ‘농가맛집’으로 선정했다. 향토자원화사업의 일환이었다. 신씨는 농가 맛집 계획서를 만들어서 제출했고 채택이 되었다. 그 계획서에는 ‘맥적’이 있었다.
 
그가 재현한 ‘맥적’은 된장과 돼지고기를 이용한 것이다. 된장을 푼 물에 달래, 부추, 마늘을 다져서 넣고 그 물에 돼지고기를 재워두었다가 굽는다. 뜨거운 여름날 수영장 물 위로 튀어 오르는 공처럼 탱탱한 맛이다. 숯불이 선사한 냄새는 침을 고이게 하는 독특한 향이다. 이 맥적을 쌈 채소와 함께 먹으면 ‘고종쌈밥’이 된다.
 
 
img_05.jpg


 
 

다진 쇠고기와 갖은 양념 들어간 약고추장은 밥도둑

 
신씨는 “고종께서 예전에 쌈밥과 약고추장을 좋아하셨다고 해요. 남양주시 채소는 신선하고 깨끗하죠. 물이 오염되지 않은 지역이죠” 라고 말한다. 이곳에서 사용하는 식재료는 모두 신은정씨와 남편 이상연(56)씨가 재배하는 것들이다. 신씨는 식재료에 대한 자신감이 넘친다. 약고추장은 다진 쇠고기와 갖은 양념이 들어가서 단 듯 매콤한 듯 묘한 맛을 낸다. 이 고추장만으로도 밥 한 끼가 후딱 해결된다.
 
지난 달 이곳을 찾은 한채리(36)씨의 가족은 마냥 즐겁다. 부모님을 모시고 아이들과 함께 이곳을 방문했다. “개인적으로 요리를 좋아합니다. 온 가족이 함께 음식을 만드는 과정 자체가 너무 즐겁습니다”라고 말한다. “아이들은 할아버지가 요리하는 모습을 처음 봤어요. 신기해해요”라고 덧붙인다. 뿌연 연기 속에 ‘하하호호’ 웃음이 끊이지가 않는다.
 
맥적이 완성이 되면 한상 떡 하니 차려진다. <구암모꼬지>에서 준비한 향긋한 반찬들이 식탁에 오른다. 식탁 한쪽에 새침한 배깍두기도 등장한다. 겉모양만 보면 무인지 배인지 모르는 깍두기다. 한 젓가락 먹는 순간 감탄사가 튀어나온다. 인생의 지평이 넓혀진 느낌이 든다. 마치 사랑처럼. 사랑의 경험이 많을수록 삶의 깊이는 넓어진다. ‘무’든 ‘배’든 자신에게 맞는 ‘사랑’이면 그 맛은 최고다.
 
‘모꼬지터’는 여러 사람이 놀이나 잔치 따위로 모이는 곳이라는 뜻의 순수 우리말. 농가체험행사는 철에 따라 다양하다. 쑥개떡만들기, 옥수수심기, 송편 빚기, 토마토 따기 등. 누리집이나 전화로 예약하면 된다. (www.mokkojiteo.com/031-511-7752)
 
 
글·사진 박미향 <한겨레> 맛기자 mh@hani.co.kr 
 
 <맥적>
 ◎ 재료
   돼지고기(목살) 600그램, 달래 20그램, 부추 20그램, 마늘 30그램(4~5톨)
 고기양념장: 된장 2큰술, 물 2큰술, 진간장 2작은술, 술 2큰술, 조청 3큰술, 설탕 1큰술, 
    참기름 2큰술, 깨소금 2큰술
 
 ◎ 만드는 법
 1. 돼지고기를 1cm 두께로 썰어 두드린다.
   2. 달래의 머리는 으깨고 나머지는 2cm 정도로 자른다. 부추도 2cm 정도 자른다.
       마늘은 굵게 다진다.
   3. 고기양념장에 고기를 담가둔다.
   4. 3에 달래, 부추, 마늘을 넣고 버무린다.
   5. 양념이 배면 숯불에 굽는다.
 
 <약고추장>
 ◎ 재료:
   고추장 500그램, 다진쇠고기 200그램, 배즙 150그램, 설탕 30그램, 꿀 40그램,
   참기름 2큰술, 잣 1작은술
 ◎ 쇠고기양념장: 간장 2작은술, 설탕 1작은술, 생강즙 1작은술, 참기름 1작은술,
    다진파 2작은술, 다진마늘 2작은술, 후추 1/2 작은술, 께소금 1/2 작은술,
    배즙 2작은술
 
 ◎ 만드는 법
 1. 쇠고기는 곱게 다져 쇠고기양념장에 버무린 다음 볶는다.
   2. 고추장에 다진 고기, 배즙, 설탕, 꿀을 넣고 약한 불에서 2~3시간 정도 저으면서
      충분히 볶는다.
   3. 참기름도 조금씩 넣어 한 방향으로 젓는다. 빛깔이 거무스름해질 때까지 볶는다.
   4. 상에 낼 때 잣가루를 뿌린다.
 
   박미향 기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미향 기자
한겨레신문에서 음식문화에 관한 다양한 기사를 쓰고 있다. 2000년에 직장인들의 야식을 주제로 한 연재물 '밤참'을 시작으로 먹을거리와 인연을 맺었다. <그곳에 가면 취하고 싶다>, <인생이 있는 식탁> 등 4권의 음식 관련 책을 냈다. MBC <여성시대> 등에 출연해 맛난 이야기를 전하기도 했다. 타고난 체력과 품 넓은 열정을 재산 삼아 맛과 이미지의 세상을 여행하고 있다.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행복하게 만드는 음식문화 정착에 자신의 일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행복의 시작은 밥상이 출발이라고 믿는다.
이메일 : mh@hani.co.kr       트위터 : psolsol      

최신글

엮인글 :
http://kkini.hani.co.kr/5916/7ac/trackback
List of Articles

무인줄 알았더니 배내, 사랑도 이랬으면!

  • 박미향
  • | 2010.05.20

<구암모꼬지> 배깍두기 음식도 연애도 허겁지겁 서둘면 제맛 몰라 강약 조절해 굽던 ‘맥적’ 탱탱하게 ‘재탄생’   껍질을 벗긴 무와 배를 깍둑썰기를 해서 그릇에 담아두면 어떤 것이 무인지 배인지 알 수가 없다. 맛을 보지 않고서는 구별이 힘들다. 연애도 마찬가지다. 멀쩡해 보이는 상대방도 가까이에서 ‘맛을 보지’ 않으면 달콤한지 시원한지 담백한지 알 수가 없다...

조림도 국도 아닌, 냉정과 열정 사이

  • 박미향
  • | 2010.05.11

이재 황윤석 전주 종가 무찌개 쫄깃한 쇠고기와 아삭한 무의 40년 궁합 가마솥밥 끓을 때 익힌 간조기찜도 예술 뚝딱뚝딱, 한 시간이 채 안 걸린다. ‘무찌개’와 ‘간조기찜’은 빠른 시간에 식탁에 모습을 드러낸다. ‘무찌개’는 이름도 낯설다. 무조림도 아니고 무국도 아니고 생채무무침도 아닌 이 음식은 도대체 어떤 맛일까? ‘무찌개’는 ‘냉정과 열정 사이’에 있었다...

잃어버린 맛 방풍죽, 홍길동도 먹었을까

  • 박미향
  • | 2010.04.28

바닷가 모래땅에만 자라 풍에 탁월한 나물 허균도 “사흘이 지나도 입 안에 향미” 찬탄 꿈에서 지갑을 잃어버리면 그것만큼 끔찍한 것도 없다. 밤새 ‘내 지갑 돌리도’ 외치면서 어두운 꿈 속을 헤맨다. 낡아서 값어치 떨어진 지갑이라도 내 품에 있다가 사라지면 아쉽다. 현실에서도 마찬가지다. 돈을 둘째 치고 뭔가 뒤가 개운하지 않다. 할 수만 있다면 천 리, 백 리라도...

무와 배 오묘하게 섞어 한 폭의 그림

  • 박미향
  • | 2010.04.27

전주 학인당 백씨 종가 한채 고종이 보내준 목수가 궁중양식으로 지어 맛나지 생합작 등 맛도 집 만큼 웅숭 깊어 초등학생 한 명이 겨우 들어갈 만한 작은 문을 열자 마당에 큰 기와집이 반갑게 맞는다. 마당 한쪽에는 덩치 큰 개들이 멀끔히 쳐다보고 짖지도 않는다. 낯선 사람들이 자주 찾기 때문에 예사로 아는 모양이다. 전주 한옥마을에 고즈넉하게 자리잡은 ‘학인당’...

욕심은 빼고 웃음꽃 양념에 기도로 간 맞춰

  • 박미향
  • | 2010.04.16

정각사 절음식 도도할 만큼 정갈하고 슴슴한 무심의 맛 있어야 할 맛은 다…위궤양·아토피 ‘싹~’ 헉헉, 성북구 삼선동 언덕을 넘자 작은 절이 나온다. 절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사찰을 둘러싸고 있는 우람한 나무도 노래하는 새도 없다. 삼선동에 자리 잡은 사찰 정각사는 나무가 아니라 사람들 사이에 있다. 사람이 숲이다. 대문 앞에 서면 머릿속에 오만가지 생각이 ...

식혜도 아닌 것이, 식해도 아닌 것이

  • 박미향
  • | 2010.04.13

강릉 창녕 조씨 포식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짭짜름한 밥도둑 씨종지떡이나 묵나물도 이름만큼 오묘 ‘포식혜’ 이름이 낯설다. 한국전통음식을 연구한 조리서에서도 보기 드문 이름이다. ‘식혜’하면 쌀밥을 엿기름물로 삭혀서 만든 우리나라 화채가 떠오른다. 음료가 별로 없던 시절 어머니는 얼음 동동 띄운 달짝지근한 식혜를 만들어주셨다. 우리네 훌륭한 마실거리였다. 하지만...

그 때 그 시절, 가난해서 납작했던 추억의 맛

  • 박미향
  • | 2010.04.01

 대구 명물 납작만두  눈으로라도 배 부르라고 크기 부풀린 지혜 응큼한 작업 만두가게 주인 고려 가사 등장   가난한 어린 시절에 먹었던 음식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일명 ‘뽑기’라고 불렀던 달고나나 설탕과자, 어머니 몰래 집어먹었던 생쌀 등. 아련한 추억이 있다. ‘납작만두’도 그런 음식이다. 대구가 고향인 사람은 누구나 어린 시절 기억 속에 ‘납작만두’가...

오래 묵은 사랑처럼 먹을수록 고소

  • 박미향
  • | 2010.03.30

오리 이원익선생 종가 호박죽 대이은 검소, 모든 음식 집에 있는 재료로 배추에 생태 꼭꼭 눌려 넣은 김치는 ‘별미’ 봄은 아직도 멀었나 보다. 꽃바람 대신 3월에 꽃샘 눈보라가 친다. 영원히 봄은 오지 않을 것만 같아 공포스럽다. 싸락눈이 하늘을 덮은 3월 중순 서울에서 1시간가량 거리에 있는 경기도 광명시 ‘충현박물관’을 찾았다. 물어물어 가는 길은 팀 버튼의 ‘...

270살 씨간장이 맛의 씨 뿌린 ‘서커스’

  • 박미향
  • | 2010.03.16

파평 윤씨 명재 윤증 종가 떡전골 뚝배기보다 장맛, 버선발 한지 붙인 ‘꿀독’의 묘기 참기름 재운 게장은 아~!…쓱쓱 비벼먹으면 꿀맛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사랑, 신뢰, 가족, 연인, 정의, 부, 명예…? 사람마다 다르다. 삶은 그저 자신의 인생에서 중요한 것을 찾아 나서는 여행길일지 모른다. 하지만 만만치 않다. 해답은 언제나 롤러코스트 같다. 우리 맛...

1940년대 홍콩의 피는 이리도 두껍더냐

  • 박미향
  • | 2010.03.08

베이징덕에서 딤섬까지 <미슐랭>의 별을 찾아 떠난 홍콩 미식여행 젊고 예쁜 심부인은 오늘도 자신이 고용한 천재요리사 이삼을 괴롭힌다. “내가 먹고 싶은 고기가 뭘까? 그것으로 맛있는 것을 해와!” 말도 안 된다. 언제부터 요리사가 독심술까지 갖추어야 한단 말인가! 그래도 속살이 비칠 듯 말 듯 하늘하늘 늘어지는 긴 날개옷을 입고 팔랑팔랑 다가와 맛난 거 해달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