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향은 서울, 지금은 재건축되어 흔적도 없어져 버린 주공아파트 단지이다. 현재 그곳은 중대형평형의 중산증 이상이 거주하는 동네가 되어 버렸지만, 내가 살던 그 시절 1970년대와 1980년대 그 아파트는 13평 방 두 칸짜리 서민들이 모여 살던 아파트 동네였다.
그 좁디좁은 아파트 단지에 사는 동네사람들 모두 넉넉하지 못했음은 자명할 터. 우리 집 역시 많은 아이들에, 뻔한 아버지 월급 탓에, 엄마의 신기에 가까운 살림살이 지혜로 근근히 살던 시절이었다. 그래도 지금 돌이켜 보면 사람들 인심만은 참 후하지 않았나 싶다. 돌아가며 집집마다 보리밥에 나물 해먹던 거며, 김장이면 다들 모여서 품앗이 하던 거며, 누구네 집에 시골에서 쌀이라도 올라오면, 한 바가지씩 나누어 먹던 거 하며.
30대 중반인 내 또래만 해도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덕택에 형제가 셋이 넘는 집이 드물었는데 우리 집은 딸만 넷이었으니, 동네에서 특이한 집이었다. 그런데 같은 아파트, 같은 동, 같은 라인에 딸만 넷인 집이 또 한집이 있었다. 아이들 나이도 비슷했었다. 우리 집은 5층, 그 집은 1층.
엄마 말씀이 그 1층집은 동네 에서도 특히 살림이 어려웠다고 한다. 살림이 너무 어려워 김치는 시장에서 장사꾼들이 팔고 남은 배추 시래기로 해먹곤 했었다 한다(그런데 엄마 말씀이, 배추 시래기로 하는 배추김치가 그리도 맛있었단다). 그 처지가 하도 딱해 아이들한테 고기는 못 먹여도 계란은 먹여야 하지 않냐며, 엄마가 가끔 계란한판 사다주곤 했다고 한다. 돌이켜 보면, 가슴 아린 70년대, 80년대다.
이게 며칠 전 엄마한테 갑자기 그 집 생각이 나서 물어본 내용이었다. 그 집이 갑자기 생각난 이유는 바로, 내 생애 처음 먹어보았던 돼지갈비 때문이었다.
내 나이 일곱인가, 여덟인가 했으니 1980년대 초반이었다. 두 집다 가정형편 탓에 아이들이 한 여름에 어디 놀러가지도 못하고 있으니, 그나마 저렴한 어린이 대공원 수영장이라도 가자고 했던 모양이다. 두 집 합치니 여자만 열 명. 역시 살림살이 아끼자고, 두 집 엄마가 생각해 낸 건, 택시를 불러서 두 식구가 같이 타고 가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때는 택시가 소형이었더랬다. 소형택시에 열명...아무리 아이들이라지만, 얼마나 우스운 광경인지. 엄마 말씀이 그 택시 기사가 그리 고마웠단다. 싫은 내색은커녕, 다 이해한다고 말씀해 주시더란다. 주머니는 가난하지만, 마음이 부자였던 시대가 아니었을지.
그렇게 모여서 간 수영장에, 그 형편 어렵기로 소문난 1층 아주머니가 돼지갈비 간장양념을 해오셨다. 내 생에 처음 먹어보는 돼지갈비. 달콤 짭쪼름한 그 돼지갈비가 그리 입에 살살 녹을 수가 없었더랬다. 그걸 하얀 쌀밥에 얹어 먹는데(평소에 먹던 보리밥이 아니라), 세상에 이런 맛이 다 있나 싶었다. 야외에서 무언가 해먹는 것도 처음이었다. 해서 난 어린 나이에 눈치도 없이 구워지는 족족이 홀랑홀랑 집어 먹었는데, 다 커서 생각해 보니, 그 아주머니한테 어찌나 미안하던지. 그 집도 모처럼 아이들 먹이려 큰 맘먹고 장만해왔을 텐데.. 이후에 어른이 되어 먹은 어떤 돼지갈비도 그렇게 맛있게 먹은 적이 없다.
엄마에게 물어보니, 다행이도 그 집 아저씨가 몇 년 후 사업이 잘 되어서 보다 넓은 집으로 이사 갔다 한다. 그리고 그로부터 몇 년 후 그 아주머니가 그 가난했던 아파트 동네에 가끔 오셨다 하는 걸 보니, 어렵지만 다들 도와가며 살던 그 시절이, 그 아주머니에게도 그리운 시절이었던가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