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의 문턱에서 혼자 여행을 떠난 곳은 전북 남원이었다. 남원역에서 내려 시내에 이르자 시장통이 나타났다. 많은 생선이 진열되어 있는 어물전을 통과하자 지리산에서 채취한 갖가지 약초들을 파는 곳도 나오고, 목기나 칼 같은 남원의 명품을 파는 곳도 나왔다. 그것도 지나자 이제는 갖가지 채소를 올망졸망 꾸려서 좌판을 벌리고 있는 할머니들의 자리가 길게 뻗어 있었다. 지금 남원 사람들은 남원이 발전에서 소외되어 많이 찌그러져 있다고 낙담을 하고 있는데 그래도 이 시장은 흥성했던 남원의 과거를 간직하고 있었다.
할머니들은 배추와 무, 갓, 당근, 마늘, 사과, 배, 모과, 탱자 같은 것들을 조금씩 벌려놓고 사람이 지나갈 때마다 사라고 손짓을 했다. 나는 시장에 가면 왜 그렇게 사야 할 게 많은지 모르겠다. 이것도 사야 할 것 같고, 저것도 사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이 할머니 것도 팔아줘야 하고 저 할머니도 맘에 걸리니 뭔가는 또 사줘야 한다.
마침 점심때가 되었다. 시장에는 장꾼을 위해 싸면서도 맛있는, 허름한 식당이 있기 마련이다. 나는 그런 집을 찾고 싶었다. 여러 골목을 돌다가 좌판을 벌이고 있는 한 할머니한테 “할머니, 여기 음식 맛있게 하는 집이 어디에요?”했다. 그러자 할머니는 앞집을 가리키며 “이 집! 내 것 시켰는데 하나 더 시켜줄까?”하는 것이었다. 내가 미처 말귀를 알아듣기도 전에 할머니는 1인분을 더 시켰다. 좌판에서 겸상을 하자는 것이다. 너무 갑작스럽게 벌어진 일이라 거절하고 말고도 없었다. 할머니의 잽싼 행동에 그냥 어안이 벙벙해지는 느낌이었다. 나는 “별 경험을 다하게 생겼네요!”하면서 쪼그리고 앉았다.
조금 기다리니 양은쟁반에 2인용 식사가 담겨져 왔다. 시장 좌판에 철퍼덕 주저앉아 기우뚱거리는 쟁반을 손으로 받치고는 할머니와 밥을 먹기 시작했다. 막상 그렇게 되니 사람들이 지나 다니건 말건 별 신경이 쓰이지 않았다. 쟁반에는 소복한 흰쌀밥에 아욱국, 토란조림, 갓김치, 파김치, 생채, 시금치무침, 무부침개(무전), 갈치속젓이 차려져 있었다. 1인분에 3천원이란다. 나는 “이것 서울에서 먹으면 6천원짜리에요”했다. 그랬더니 할머니는 “그래~”하셨다. 반찬은 다 맛있었다. 전라도에서는 어디나 기본은 한다는 말이 실감났다. 할머니도 식성이 좋으셨다. 올해 80이라고 하는데 나보다 밥을 더 많이 드셨다. 밥이 많아 헐떡거리고 있는 나를 보고 “천천히 다 먹어!”하셨다. 할머니는 반찬 중에 전을 제일 맛있게 드셨다. 내게도 하나 먹어보라고 집어주셨다. 입에 넣으니 부드러운 뭔가가 씹혔다. “할머니, 이거 무로 만든 거예요?”했더니 “무를 삶아서 부친 거야”하셨다. 무전이라는 걸 난생 처음 먹어봤다. 한창 가을무가 맛있을 때인데, 무전은 재료가 가진 맛을 충분히 살리고 있었다. 특히 부드러워 이런 할머니들한테 적절한 요리인 것 같다.
밥을 먹으면서 할머니는 나보고 어디에서 왔는지, 아이는 있는지, 왜 혼자 다니는지 등등 을 물으셨다. 아직 미혼이라고 하자 “그래, 시집 안 가면 더 자유롭긴 해”하셨다. 3년 전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지금은 혼자 사신다고 하는데 “갈 때가 돼서 간 걸 어떻게……”하시며 담담한 표정이셨다.
식사를 끝낼 무렵 할머니는 돌연 “아가씨, 같이 밥 먹어줘서 고마워!”하셨다. 이것 역시 생각지도 못했던 말이다. 이제야 왜 할머니가 같이 먹자고 했는지 이해가 되었다. 잠깐이나마 할머니의 말벗이 되었다니 참 다행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