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년회 시즌 ‘가성비 갑’ 식당 여기서 골라보세요

끼니 2016.11.10
조회수 10240 추천수 0
가족·직장동료·중년들의 송년회에 어울리는 식당들

00501196_20161110.JPG
마포 등지에 위치한 ’송추가마골 인 어반’. 사진 박미향 기자

 불콰하게 중년남성

음식·여행 칼럼니스트 노중훈: ‘문화포차’, ‘호반’

“문화포차는 주인의 문어 삶는 솜씨가 기가 막힌다. 호반은 봄비처럼 촉촉한 콩비지, 순대 전문점 뺨치는 대창순대 등이 선택의 고민에 빠지게 한다.”

문화포차는 지하철 5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 출구에서 2~3분 거리에 있다. 네온사인이 번쩍이는 맛골목에 자리잡은 이곳은 식탁이 4개밖에 없는 작은 식당이다. 문어, 소라, 백합, 해삼 등을 파는 해산물 선술집으로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1인당 2만원인 문어숙회다. 언뜻 비싸 보이지만 반찬이 예술이다. 전복찜, 함초무침, 꼬막, 민들레겉절이, 칠게튀김, 매생이전 등 눈이 휘둥그레진다. 2인 이상만 입장이 가능하며 예약도 안 받는다. 영등포구 당산동3가 85-1/(02)2675-0485/2만~3만원/일요일 휴무.

호반은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꽤 유명했던 한식당이었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지난해 6월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없어진 줄 알았던 단골들이 하나둘씩 찾아와 문전성시다. 아침부터 조려 만들어 뼈째 먹을 수 있는 꽁치, 시원한 물김치, 굵고 탱탱한 고사리무침 등이 반찬이고, 식사류는 순댓국, 육개장, 콩비지 등이다. 순대, 병어찜, 우설, 편육, 서산강굴 등이 안주다. 맛있다. 종로구 낙원동 85-7/(02)745-6618/6000~4만5000원/첫째·셋째·다섯째 일요일 휴무

낙원동에 위치한 ’호반’.
낙원동에 위치한 ’호반’.

■ 우아하게 중년여성

배화여대 전통조리학과 김정은 교수: ‘비스트로 드 욘트빌’, ‘골드피쉬’

“비스트로 드 욘트빌은 여성들이 모여 수다 떨기 좋은 아늑한 공간이 매력적이다. 골드피쉬는 좋은 재료를 사용해 재료 본연의 맛을 잘 살렸다.”

비스트로 드 욘트빌은 미국의 유명한 요리사 토머스 켈러의 레스토랑이자 <미쉐린 가이드> 별 3개를 받은 ‘프렌치 론드리’에서 일했던 실력파 한국인 요리사 타미 리가 주인이다. 고급 레스토랑이 포진해 있는 청담동에서 비교적 소박한 곳으로 3코스가 3만5000원, 4코스가 4만2000원인 점심이 특히 인기다. 푸아 그라 테린, 프랑스식 육회, 양파수프, 가리비그라탕 등 전통 프렌치의 향과 맛을 즐길 수 있다. 강남구 청담동 83-6/(02)541-1550/점심 3코스 3만5000원, 점심 4코스 4만2000원, 저녁 코스 7만5000~10만원, 단품 1만5000~6만8000원/1월1일·설날·추석 휴무

골드피쉬는 현대적이고 세련된 인테리어로 꾸민 딤섬 전문점이다. 압구정점은 들어서자마자 오른쪽 주방에서 딤섬을 빚는 여러 명의 요리사가 보인다. 왁자지껄 떠들어도 부담이 없는 분위기로 압구정점과 홍대점 두 곳이 있다. 소룡포(샤오룽바오), 쇼마이(샤오마이), 지짐교자, 새우춘권 등이 있다. 강남구 신사동 657-5/(02)511-5266/딤섬 7500~7900원, 소고기오이냉채, 볶음밥 등은 1만4000~2만3000원/매주 화요일 휴무

청담동에 위치한 ‘비스트로 드 욘트빌’. 사진 박미향 기자
청담동에 위치한 ‘비스트로 드 욘트빌’. 사진 박미향 기자

압구정동 등지에 위치한 ‘골드피쉬’. 사진 박미향 기자
압구정동 등지에 위치한 ‘골드피쉬’. 사진 박미향 기자

<월간식당> 편집장 육주희: ‘송추가마골 인 어반’

“종업원이 직접 고기를 구워주고 다양한 크기의 방이 있어 여성들이 아늑하게 송년회 하기 좋다.”

송추가마골 인 어반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서 35년 전통을 이어온 ‘송추가마골’이 최근에 낸 고기 전문점이다. 서울 도심 안에서 맛깔스러운 고기를 구워 먹자는 콘셉트다. 여의도, 광화문, 마포, 상암, 판교점이 있다. 청포묵, 양파무침, 여러 가지 장아찌, 샐러드 등 반찬도 깔끔하게 나온다. 지난달 연 마포점은 116명 이상 들어갈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장점이며 가마골갈비, 한돈돼지구이, 돼지불고기정식, 냉면 등이 메뉴다. 마포구 염리동 168-9 재화스퀘어 지하 1층/(02)706-2900/돼지양념구이 1만9000원, 송추갈비 2만9000원(250g, 4대), 가마골갈비 3만6000원(380g, 6대), 한우 채끝구이 3만8000원(160g), 한우 안심 3만5000원(150g), 갈비탕 1만1000원/연중무휴

마포 등지에 위치한 ‘송추가마골 인 어반’. 사진 박미향 기자
마포 등지에 위치한 ‘송추가마골 인 어반’. 사진 박미향 기자

■ 다정하게 가족모임

음식전문잡지 <쿠켄> 편집장 이은숙: ‘미가양고기’

“아이가 조금 번잡스럽게 홀을 다녀도, 가족들이 큰 소리 내며 박장대소해도 부담이 없는 곳이다.”

미가양고기는 수지구청 근처에 있는 양고기 전문점이다. 훠궈, 꿔바로우(궈바오러우) 등 다양한 중식 메뉴도 있어 어린아이부터 어르신들까지 함께 식사하기 좋다. 4시간 전에 주문해야 맛볼 수 있는 양다리바비큐가 별미다. 오랜 시간 통째로 숯불에 구워 기름기가 쏙 빠져 겉은 고소하고 안쪽은 촉촉하고 부드럽다. 푸짐한 양갈비는 맛깔스럽다. 식당 한쪽에 버섯, 각종 채소가 무제한 리필되는 셀프 코너가 있다. 경기도 용인시 풍덕천동 724-3/(031)272-8845/훠궈A세트(훠궈, 깐풍새우, 꿔바로우) 5만9000원(3~4인용), 훠궈B세트(훠궈, 가지요리, 꿔바로우) 5만2000원(3~4인용), 양다리바비큐 2㎏ 8만6000원, 양갈비 500g 2만900원, 양꼬치 1만원/연중무휴

■ 토닥토닥 직장회식

모바일지갑 얍컴퍼니 이승기 이사: ‘용가’, ‘고기꾼 최달포 신사점’

“좋은 재료, 훌륭한 맛, 두 가지를 추구하면서도 가격 부담이 적어 주머니 얇은 직장인들의 송년회 장소로 이만한 곳도 없다.”

용가는 8년 전 화교가 연 중식당으로 마포 주민들 사이에서 가성비 좋은 맛집으로 소문이 자자하다. 직접 빚은 물만두과 군만두는 알이 굵고 맛나다. 면류는 16가지, 밥류는 12가지, 요리류는 40가지가 넘는다. 마라우육, 동파육, 닭고기 탕수육, 새우탕수, 마라관자 같은 동네 중국집에서는 보기 힘든 음식도 맛볼 수 있다. 밥류나 면류는 대부분 5000~7000원대이고 요리는 2만~4만원대다. 마포구 공덕동 232-6/(02)702-1555~6/5000~10만원/연중무휴

고기꾼 최달포 신사점은 지하철 3호선 신사역에서 5분 거리에 있는 무한리필 고기 전문점이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의 ‘한돈 인증’을 받은 고깃집이다. 국내산 돼지고기만 판다는 소리다. 무한리필이지만 만약 남기면 ‘환경부담금’ 3000원을 내야 한다. 사골묵은지, 속초코다리비빔국수, 오모리김치찌개, 날치알계란찜 같은 메뉴도 있다. 무한 리필이 싫은 이들은 고기를 단품 주문할 수 있다. 서초구 잠원동 20-8/(02)6403-7859/무한 리필 평일 점심 1만3900원, 저녁과 주말은 1만5900원, 단품 생삼겹살과 생목살, 생앞다리살은 1만1000원(180g), 생갈매기살 등은 1만2000원, 다른 메뉴 1000~4000원/연중무휴

공덕동에 위치한 ‘용가’. 사진 박미향 기자
공덕동에 위치한 ‘용가’. 사진 박미향 기자

롯데주류 홍보팀 양문영: ‘분노지’

“한번 가본 이라면 모두 열광하는 식당이다. 좌석이 적어 예약이 힘들지만 맛과 분위기는 최고다.”

분노지는 조용한 주택가에 있는 일본식 선술집으로 식도락가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다. 돼지고기와 각종 채소를 아담한 그릇에 넣어 찐 ‘부타무시 샤브’와 굴튀김, 메로구이, 전복버터구이 등이 메뉴다. 해산물이 부담스러운 이들은 닭가라아게, 와규화로구이 등을 주문하면 된다. 해장에 좋은 나가사키짬뽕도 대기하고 있다. 복어곤이소금구이는 별미다. 11가지 사케와 고구마, 보리 등이 재료인 12가지 일본식 소주가 있어 애주가들에게 매력적인 술집이다. 주량이 약한 여성들은 잔술을 주문하면 된다. 서초구 반포1동 743-17/070-4105-0153/안주 6000~3만5000원, 잔술 포함 사케 7000~15만원, 일본소주 4000~7000원/일요일 휴무

반포1동에 위치한 ‘분노지’. 사진 박미향 기자
반포1동에 위치한 ‘분노지’. 사진 박미향 기자
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시장에 가면 신선함도 있고, 가성비도 있고

  • 끼니
  • | 2017.02.09

저렴하게 바닷가재 먹을 수 있는 재래시장 서울 노량진수산시장에서 맛 본 랍스터회. 박미향 기자 ‘재래시장은 옳다’. 이 문장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따지는 시대에 외식을 즐기는 이들이 입버릇처럼 쓰는 말이다. 높은 임대료의 압박, 터무니없는 권리금 횡포가 상대적으로 덜한 재래시장은 유명 상권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맛을 즐길 수 있는 게 매력이다. 최근 몇 년...

피자를 지배한다, 포장마차를 호령한다

  • 끼니
  • | 2017.02.09

독특하고 다양하게 바닷가재 요리 선보이는 맛집들 핏제리아오의 ’랍스터피자’. 박미향 기자 직장인 이진아(25)씨는 또래 친구들과 최소 2주에 한번 맛집을 간다. 얇은 주머니 사정에 맞춘, 1만원대를 넘지 않는 식당들이다. 하지만 특별한 날에 찾는 맛집은 따로 있다. 바닷가재(로브스터·랍스터) 전문점이다. 그는 “가격이 조금 비싸지만 뭔가를 기념하는 날 이보다 좋은 메뉴...

전국~ 해장국 자랑~

  • 끼니
  • | 2016.12.14

제고장 식재료로 만드는 다양한 속풀이 음식들 술자리가 잦아지는 연말엔 해장국 한 그릇이 간절하다.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서울 토박이인 화가 사석원은, 서울 사람에게 고향은 단골 술집이라고 얘기한다. 허름한 대폿집을 유난히 좋아하는 그는 흐드러진 하룻밤 술집 풍경을 특유의 정감 있는 화풍에 담기도 했다. 고향 같은 술집의 정감에 빠져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

송년회 시즌 ‘가성비 갑’ 식당 여기서 골라보세요

  • 끼니
  • | 2016.11.10

가족·직장동료·중년들의 송년회에 어울리는 식당들 마포 등지에 위치한 ’송추가마골 인 어반’. 사진 박미향 기자 ■ 불콰하게 중년남성 음식·여행 칼럼니스트 노중훈: ‘문화포차’, ‘호반’ “문화포차는 주인의 문어 삶는 솜씨가 기가 막힌다. 호반은 봄비처럼 촉촉한 콩비지, 순대 전문점 뺨치는 대창순대 등이 선택의 고민에 빠지게 한다.” 문화포차는 지하철 5호선 영등포...

떡볶이·꽈배기에 ‘고루고루’ 푸짐한 250m

  • 끼니
  • | 2016.10.21

다양하고 저렴한 먹거리로 이름난 서울 영천시장 맛 기행 지난 14일 서대문구 영천시장을 찾아 영천신시장사업단의 도시락 뷔페 사업인 ’고루고루’를 경험하고 있는 고등학생들. 녀석이 시장에 온 손님을 노려보고 있었다. 표정이 사람을 조롱하는 것인지, 세상에 초연한 것인지, 도무지 알 도리가 없다. 고양이가 생선을 좋아한다는 세간의 상식은 최소한 서울 서대문구의 영천...

햄버거 배달…맛골목 조성…호텔의 ‘변신’

  • 끼니
  • | 2016.09.29

문턱 높은 고급호텔들, 경쟁력 키우려 ‘대중화’로 눈 돌려 ‘제이더블유(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의 레스토랑 ‘비엘티(BLT)스테이크’가 배달서비스 할 햄버거. 엄청난 속도로 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다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으며 무엇이든 변한다는 것이다. 거대 도시 서울의 외식문화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1970년대 이후 2000년대...

장사꾼의 끈기, ‘돈가스의 역사’를 쓰다

  • 끼니
  • | 2016.09.22

일본식 돈가스 맛의 원조 ‘명동돈가스’ 30여년 운영해온 윤종근씨 ‘명동돈가스’의 로스가스. 박미향 기자 “내가 대학을 다닐 때만 해도 돈가스는 빈대떡처럼 얇고 겉이 딱딱했다. 포크와 나이프를 들고 폼 잡고 먹는 음식이었다.” 서울 명동 ‘명동돈가스’ 주인 윤종근(81)씨의 회상에는 어딘가 자부심이 배어 있었다. 그가 대학생이었던 1950년대에는 두께가 2㎝ 정도인 도...

전통·현대 맛의 조화 ‘의양동’을 아십니까

  • 끼니
  • | 2016.08.24

요즘 뜨는 경기 의정부·양주·동두천 일대 맛 여행 카페 아를 경기 의정부, 양주, 동두천 일대 주민들은 거주 지역의 앞 글자만 따서 스스로를 ‘의양동 주민’이라고 부른다.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북한과 더 가깝고 이름난 유원지가 적어 여행지로는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 경기 분당이나 성남처럼 개발 붐이 일지도 않아 고즈넉한 분위기가 오랫동안 유지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눈이 즐거워 꽁! 입이 행복해 꽁!

  • 끼니
  • | 2016.08.12

화려한 모양과 다양한 재료로 무더위에 지친 이들 사로잡는 '빙수의 전쟁' 김대현 셰프가 운영하는 ’르쁘띠푸’의 눈사람빙수. 박미향 기자 ‘애망’, ‘꿀빙’, ‘돔빙’. 외계어 같은 이 낯선 단어들의 뜻을 안다면 당신은 빙수 애호가다. ‘애망’은 애플망고빙수, ‘꿀빙’은 벌꿀 올린 빙수, ‘돔빙’은 돔페리뇽 샴페인 빙수다. 5년 전만 해도 없던 말이다. 연일 기록을 ...

자글자글 끓는 수다에 음식은 ‘왕따’

  • 박미향
  • | 2008.12.24

[맛집 순레] 송년회에 딱! ④ “어쩜 얘, 똑같아 똑같아”, 그들만의 ‘동감 식사’ 차별의 설움 ‘칼질’하고 추억의 꽃미남 ‘포크질’ 속닥속닥, 두런두런…, 여자들의 수다가 끝이 없다. 영화 ‘죽이고 싶은 남자’, ‘싱글즈’, ‘처녀들의 저녁 식사’ 등, 여러 명의 여자들이 주인공인 영화는 영상보다 대사가 더 돋보인다. 영화 속 여자들의 속내가 스펀지에 빨려드는 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