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이잡채
해독·당뇨 효과…잡채와 만나면 환상 궁합
노란 개나리가 피기 시작하면 추운 겨울에는 먹을 수 없었던 향긋한 나물들이 우리 식탁을 찾아온다. 그 중에서 가장 반가운 나물이 냉이다. 그 풋풋한 풍미는 봄의 전령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기가 막히다.
냉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따뜻한 온대지역에서 고루 재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단백질이 가장 많은 채소가 냉이란 점이다. 고기나 콩과는 맛이 전혀 다른데도 말이다. 동시에 무기질이 많은 알칼리성 음식이기도 해서 채식주의자들에게 인기 만점 이다.
한의학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많이 사용하는 해독, 당뇨병, 안질 등에 효과가 있다. 특히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해서 아기를 낳은 여성들에게 더없이 좋은 먹을거리다. 자궁 출혈이나 생리양이 많을 때도 큰 도움이 된다. 냉이는 지혈효과도 한다.
하지만 우리 몸에 좋다는 이유로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해서는 안 된다. 몸이 냉한 사람은 더 차져서 건강에 해로울 수도 있다. 예부터 냉이를 ‘나이’라고 불렀던 우리조상들은 데워서 우린 냉이를 잘게 썰어 나물죽으로 만들어 먹었다. 서양 사람들이 우리 음식 중에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진 잡채와 냉이가 만나면 어떤 맛을 낼지 궁금해진다.
글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일러스트레이션 김은정 기자
도움말 주나미(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요리 차재만(선재사찰음식연구소 연구원)
해독·당뇨 효과…잡채와 만나면 환상 궁합
노란 개나리가 피기 시작하면 추운 겨울에는 먹을 수 없었던 향긋한 나물들이 우리 식탁을 찾아온다. 그 중에서 가장 반가운 나물이 냉이다. 그 풋풋한 풍미는 봄의 전령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기가 막히다.
냉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따뜻한 온대지역에서 고루 재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단백질이 가장 많은 채소가 냉이란 점이다. 고기나 콩과는 맛이 전혀 다른데도 말이다. 동시에 무기질이 많은 알칼리성 음식이기도 해서 채식주의자들에게 인기 만점 이다.
한의학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많이 사용하는 해독, 당뇨병, 안질 등에 효과가 있다. 특히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해서 아기를 낳은 여성들에게 더없이 좋은 먹을거리다. 자궁 출혈이나 생리양이 많을 때도 큰 도움이 된다. 냉이는 지혈효과도 한다.
하지만 우리 몸에 좋다는 이유로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해서는 안 된다. 몸이 냉한 사람은 더 차져서 건강에 해로울 수도 있다. 예부터 냉이를 ‘나이’라고 불렀던 우리조상들은 데워서 우린 냉이를 잘게 썰어 나물죽으로 만들어 먹었다. 서양 사람들이 우리 음식 중에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진 잡채와 냉이가 만나면 어떤 맛을 낼지 궁금해진다.
| |
글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일러스트레이션 김은정 기자
도움말 주나미(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요리 차재만(선재사찰음식연구소 연구원)